무위이화

무위이화

[ 無爲而化 ]

요약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교화한다는 뜻으로, 억지로 꾸밈이 없어야 백성들이 진심으로 따르게 된다는 말.

無 : 없을 무
爲 : 할 위
而 : 어조사 이
化 : 될 화

도(道)는 스스로 순박한 자연을 따른다는 자연(無爲自然)을 주장한 의 말로, 백성을 교화함에 있어서 잔꾀를 부리면 안 된다는 뜻이다. 《노자(老子)》 제57장 순풍(淳風)을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나라는 바른 도리로써 다스리고, 용병은 기발한 전술로 해야 하지만,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무위로써 해야 한다.(중략) 그러므로 성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감화되고(我無爲 而民自化) 내가 고요하니 백성들이 스스로 바르게 되며(我好靜 而民自正) 내가 일을 만들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부유해지고(我無事 而民自富) 내가 욕심부리지 않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소박해진다(我無欲 而民自樸)."

노자는 문화를 인류의 욕심이 낳은 산물로 보고, 문화가 인류의 생활을 편하게는 하였지만 또한 인간의 본심을 잃게 만들었다고 하여, 학문과 지식을 버리라고까지 하였다. 무위 또는 무위이민자화(無爲而民自化)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윗글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한편 《》의 위령공(衛靈公)편에도 다음과 같이 무위에 관한 내용이 보인다. 이곳에서는 무위를 덕치(德治)로 해석하여, 덕으로 다스리면 백성들이 마음으로 따른다고 하였다. '가 말하기를, 함이 없이 다스리는 자는 순임금이다. 무엇을 하였는가. 자기를 공손히 하고 똑바로 남쪽을 향해 있었을 뿐이니라(子曰 無爲而治者 其舜也與 夫何爲哉 恭己正南面而已矣).'

무위이화란 이와 같이 법과 제도로써 다스리려 하는 법가 사상과 대치되는 생각이지만, 유가에서는 덕을 중시하고, 도가에서는 인이나 예마저도 인위적인 것이라고 하여 배척한다. 자연 상태 그대로의 인간 심성과 자연의 큰 법칙에 따르는 통치가 바로 무위이화이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