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길

가는 길

요약 길 떠나는 이의 회포를 반복적인 시구에 담은 시.
저자 김소월
장르
발표년도 1923년 10월 《개벽》 40호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 번

저 산에도 까마귀, 들에 까마귀
서산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강물 뒷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오라고 따라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가는 길》 전문)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다시는 못 볼 것처럼 정말 그리워진다고 표현한 1연에서 소월은 언어의 주술성을 누구보다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움이란 긴 이별을 인정한 후에야 가능한 말이다. 그래서 그냥 갈까 못내 갈등하는 나그네를 두고 까마귀는 서산에 해가 지니 빨리 갈 길을 재촉하라고 성화를 댄다. 나그네의 이러한 복잡한 심사를 알 바 없는 강물은 어서 따라서 오라커니 가자커니 하며 제갈길만 무심히 가고 있다.

이별과 그리움, 인간의 미련과 자연의 무심함은 소월시의 대표적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 시에서는 그러한 화자의 심정과 자연의 풍경이 반복적인 어구의 사용과 앞말을 뒤에서 이어받는 연쇄법으로 그려진다. 유아기의 언어습득과정을 그대로 재현한 듯한 이러한 언어구사의 단순성은 소월시의 특징이기도 한데, 이는 그가 어려서부터 즐겨듣던 과 의 내용과 형식이 시작과정에 개입된 흔적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월시는 시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는 보통 사람들도 별 어려움없이 암송할 수 있다.

그의 시가 향토색 짙은 서정을 담고 있는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그 자신의 고향인 평안 지방의 사투리가 시어로서 풍부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맨 마지막 연의 '흐릅디다려'는 이기문 교수의 말에 따르면 '~읍데다레'와 관련이 있는 평북 정주 지방 특유의 로서 소월은 '~려'로 바꾸어 표기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현자 교수는 <가는 길의 분석과 상상력의 출발점>이라는 논문에서 '~려'가 '자신의 의지에서 나온 발언이 아니라 화자가 발언된 내용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는 객관화된 전언의 태도로서 여태껏 강물의 영상과 겹쳐지던 자신을 강물이라는 대상과 분리시킨다'고 주장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