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요약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집합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수트(Internet Protocol Suite)라고도 불린다.

들이 에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들의 모음(suite)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핵심 프로토콜인 TCP와 IP를 포함한 각종 프로토콜의 총칭이다. 1980년 초 미국 국방부가 제정하였다. 유닉스(UNIX) 운영체제 내에 채용되고 인터넷에도 사용되었으며, 유닉스와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네트워크상에서 를 전송하는 표준이 되었다.

미국 국방부에서 구축한 전산망인 알파넷(ARPAT)에서 개발된 프로토콜으로서, 1983년 1월 알파넷에서 NCP 대신에 이 표준을 사용하였다. 그 후에 알파넷에서 Milnet를 독립시키고, 이 두 네트워크 사이의 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무렵 미국 방위통신청(DCA)이 모든 알파넷을 이용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TCP/IP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를 계층적으로 구성하는데, 이를 프로토콜 스택이라 부른다. TCP/IP는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인터넷 계층, 전달 계층 및 응용 계층의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상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접하는 웹서비스, 원격 파일 전송, 메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 및 와 같은 많은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전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를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종점간 연결과 데이터 전달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를 좀 더 작은 패킷으로 나누고 수신된 패킷들을 원래대로 재조립하는 일을 수행한다. TCP 프로토콜, 즉 전송 제어 프로토콜은 재전송이나 오류제어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의 전달을 보장하고, 흐름제어 및 혼잡제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의 전송 계층에서는 TCP 이외에 프로토콜이 사용되기도 한다. UDP 프로토콜은 TCP와 달리 목적지까지의 메시지 전송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말하며, 재전송이나 흐름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인터넷 계층을 담당하는 IP 프로토콜은 IP주소를 기반으로 각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는 길을 찾아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라우팅(routing)을 담당한다. 하나의 상위 계층(전달 계층) 패킷은 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최종 목적지에서 원래의 전달 계층 패킷으로 재조립 된다. IP 계층은 IP 프로토콜 이외에 ICMP, ARP 등의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은 IP 패킷이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적으로 전달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이더넷, Wi-Fi, , ATM등의 전송방식을 포함한다. 최하위 계층인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은 물리주소, 즉 MAC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전달 경로 상에 있는 노드와 노드 간의 전송을 담당한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