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잠수함침투사건

북한잠수함침투사건

[ 北韓潛水艦浸透事件 ]

요약 북한의 대남 침투 사건 중 잠수함을 이용한 해상 침투 사건.

은 수중을 잠항(潛航)할 수 있는 을 말하며, 소형은 잠수정이라고 한다. 그 중 탐지 및 추적을 피할 수 있게 만든 것이 반잠수정이다. 주로 북한의 대남 침투용으로 이용된다.

잠수함을 이용한 북한의 대남침투는 지금까지 여러 차례 있었다. 1983년 12월 3일에는 부산 에서 남파간첩을 내려 놓고 귀환하려던 반잠수정을 남한 해군이 격침시켰다. 1985년 10월 20일에는 부산 청사포 앞바다에 침투한 반잠수정을 격침시켜 북한 잠수복 3벌을 수거했다. 1996년 9월 18일에 강원도 강릉 앞바다로 무장간첩 26명을 태우고 침투한 잠수함은 350t급이었다. 1998년 6월 22일 무장간첩 9명을 태운 북한 잠수정이 강원도 속초 해안으로 침투했다. 그러나 속초 해안 동쪽 11.5마일 해상에서 어망에 걸려 표류하다가 남한측의 추격을 받자 9명 모두 집단 자살했다.

또 1998년 11월 20일, 강화도 부근 해상으로 침투한 북한 잠수정은 남한 해군의 추격을 따돌리고 북으로 도주했다. 같은 해 12월 18일에는 전남 여수 앞바다로 무장간첩 6∼8명을 태운 북한 반잠수정이 침투하여 격침되었다. 이 반잠수정을 1개월 후, 격침된 곳에서 450m 떨어진 지점의 150m 해저에서 발견했고, 그로부터 2개월 후 인양했다. 해저 150m까지 내려가 선체 인양에 성공한 것은 세계 최초였다.

등 남북교류협력 문제가 논의될 무렵인 1998년 12월에 도발된 북한잠수함침투사건을 두고 북한측은 도리어 북침전쟁도발구실을 찾기 위한 남한의 조작극이라고 주장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