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권택

임권택

[ 林權澤 ]

요약 한국의 영화감독. 1987년 《씨받이》로 아시아·태평양 영화제에서 감독상·작품상을, 《서편제》로 상하이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2002년 《취화선》으로 칸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초대 한국영화연구소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임권택영화영상예술대학

임권택영화영상예술대학

출생-사망 1936.5.2 ~
활동분야 영화감독
출생지 전남 장성
주요수상 대종상 감독상, 아시아영화제 감독상, 문화훈장 보관장, 프랑스 문화훈장, 제14회 청룡영화상 대상, 제17회 청룡영화상 감독상, 제30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제55회 칸영화제 감독상(2002), 금관문화훈장(2002)
주요작품 《전쟁과 노인》 《증언》 《상록수》 《족보》 《깃발 없는 기수》 《만다라》 《안개마을》 《길소뜸》 《씨받이》 《연산일기》 《아제아제바라아제》 《장군의 아들》 《서편제》 《태백산맥》 《축제》 《창》 《취화선》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나 광주 숭일고등학교를 3년 중퇴하고 1956년 신생영화사 영화 제작부에 입사하였다. 1962년 《두만강아 잘 있거라》로 감독으로 데뷔하였고, 1987년 《》로 아시아·태평양 영화제에서 감독상·작품상을 수상하였다.

1989년 《아다다》로 몬트리올영화제, 《》로 모스크바국제영화제에 참석했고, 1993년 《》로 상하이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1996년에는 임권택 영화제를 개최하였다. 또 1988년에는 서울올림픽 흥행영화 《손에 손잡고》를 감독하였고, 서울올림픽 공식영화 《88 서울의 신화》 총감독을 맡았다. 1990년에는 독일 BR 3TV에 《》이 방영되었고, 1993년에는 칸영화제에서 '임권택 주간'이 설정되기도 하였다. 현재 한국영화연구소 자문위원이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객원교수,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 겸임교수, 1996년 이후 한국영화연구소 이사장(초대)으로 있다. 조선 후기의 화가 의 일대기를 그린 《취화선》으로 제55회 칸영화제(2002)에서 감독상을 받았다.

작품에 《전쟁과 노인》(1962), 《증언》(1973), 《상록수》(1978), 《족보》(1978), 《》(1979), 《》(1981), 《안개마을》(1983), 《길소뜸》(1985), 《씨받이》(1986), 《연산일기》(1987), 《아제아제바라아제》(1989), 《장군의 아들》(1990), 《서편제》(1993), 《태백산맥》(1994), 《축제》(1996), 《창》(1997), 《춘향뎐》(2000), 《취화선》(2002)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 , , , , , ,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