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화분해

수소화분해

[ hydrogenolysis , 水素化分解 ]

요약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처리를 하여 원료유보다 경질(輕質)의 제품을 얻는 방법이다. 모든 석유 유분(溜分)을 원료로 하고, 분해반응이 일어나는 고온하에서 실시한다. 예를 들면, 나프타를 원료로 하여 LPG 가스(액화석유가스)를, 경유를 원료로 하여 가솔린을 제조하는 등 널리 응용되고 있다.

수소첨가분해·가수소분해(加水素分解)라고도 한다. 좁은 의미로는 에 의한 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탄소-비 원자 간의 결합이 분해되는 반응을 말한다. 사용되는 촉매는 수소화 반응 촉매와 같은 종류로, ·백금· 등의 금속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한 예로 아실 할로젠 화합물을 팔라듐-황산바륨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화를 시키면 알데하이드가 얻어지는데, 이는 로젠문트 환원(Rosenmund reduction)이라고 하여 수소화분해반응의 일종이다. 이와 유사한 촉매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알킬할로젠 화합물과 아릴 할로젠 화합물이 알칸 및 아릴 탄화수소로 전환되며, 벤질알코올은 으로, 알릴아민과 벤질아민은 각각 프로펜과 톨루엔으로, 에폭시기는 알코올로, 그리고 사이클로프로페인은 프로페인으로 전환된다.

또한 과 아민화합물을 촉매 존재하에서 수소화시키면 알킬기가 치환된 아민 화합물이 생성되는데, 이는 환원성 알킬화반응(reductive alkylation)이라 하여 수소화분해반응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석유의 중질유나 석탄 등을 고압의 수소와 함께 촉매를 이용하여 분해하고, 경질의 액체연료를 생산하는 방법은 hydrocracking이라 하여 hydrogenolysis와 구별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