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제어장치

열차제어장치

[ 列車制御裝置 ]

요약 자동적으로 기관사에게 경보하여 주의를 촉구하고, 열차에 제동을 걸어 열차를 정지 또는 감속시키는 장치.

열차운행에서 기관사의 신호무시 및 오조작으로 인한 중대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기관사에게 경보하여 주의를 촉구하고, 열차에 제동을 걸어 열차를 정지 또는 감속시키는 장치이다.

이들 장치를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요주의 또는 위험구역에 열차가 접근할 때 기관사에 부저 등을 울려주는 차내경보장치(cab warning), 위험지역에 열차가 접근하면 경보를 울려주고, 그 구역에 진입하는 열차를 자동적으로 비상제동이 걸리게 하여 정지시키는 자동열차정지장치(automatic train stop:ATS), 열차속도를 제한하는 구역에서 제한속도 이상으로 운행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되고 감속이 되어 일정속도의 열차운행을 하게 하는 자동열차제어장치(automatic train control:ATC) 및 열차속도가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제동되어 일정속도로의 열차운행을 하게 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ATO)등이 있다.

이들 장치는 어느 것이나 지상의 조건을 알려주는 지상의 장치와 조건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차상장치로 구성된다. 열차가 지상장치를 통과할 때 송신된 운행조건(현시)을 에 의하여 차상장치가 수신하여 지상장치가 제시한 운행조건(속도)과 차량의 운행속도를 비교하여, 운행조건에 적합하지 않을 때는 경보, 또는 제동 등의 동작이 자동으로 취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 등의 주요 철도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차상장치의 송신신호(현시)의 숫자에 따라 5현시 방식과 3현시 방식이 사용된다. 5현시 방식은 진행 ·감속 ·주의 ·경계 ·정지 등의 다섯 가지 신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3현시 방식은 진행 ·주의 ·정지의 세 가지 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