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

내시

[ 內侍 ]

요약 조선시대 내시부(內侍府) 관원의 총칭.

고려시대에는 또는 근시의 일을 맡아보았으나, 말기에 이 내시직에 많이 진출함으로써 곧 환관의 별칭으로 되었다. 고려와는 달리 그 세력이 많이 약화되어 직접 정치에 참여할 수는 없었으며, 또한 자질 향상을 위하여 《》 《삼강행실》 등의 교육을 받고 매월 시험을 치루었다.

이는 자질향상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이들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였다. 내시는 궁궐에 상주해야 하는 까닭에 거세자만이 입명될 자격이 있었다. 선천적 거세자가 대부분이었으나, 스스로 거세하여 내시로 임명된 자도 많았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