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군

죽산군

[ 竹山郡 ]

요약 경기 안성시·용인시 일부지역의 조선시대 행정구역.

현 안성시 죽산면(竹山面)·이죽면(二竹面)·일죽면, 용인시 원삼면(遠三面)·백암면(白岩面) 일원에 해당한다. 때 개차산(皆次山)이라 하다가 고구려 이 이곳을 점령하고 개차산군을 두었으며, 통일신라의 경덕왕 때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 죽주(竹州)로 고쳐 성종 때 를 두었으나 목종 때 폐지하고 명종 때 를 두었다.

조선시대에는 1413년( 13) 죽산현이 되고 1434년( 16) 충청도 관할에서 경기도로 옮겼다. 1543년( 38) 죽산도호부로 승격되어 350년 동안이나 도호부의 자리를 지키다가 1896년( 33) 죽산군이 되었다. 1914년 원일면(遠一面)·근삼면(近三面)·원삼면·근일면(近一面)이 용인시에 편입되고, 나머지 서일면(西一面)·서이면·서삼면·부일면(府一面)·부이면·남면·남일면·남이면 지역이 양성군(陽城郡)과 함께 안성군(현 안성시)에 편입되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