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사회학

거시사회학

[ macro sociology , 巨視社會學 ]

요약 사회분석의 단위와 접근방법을 기준으로 사회학을 분류할 때, 일반적으로 분석단위가 크고 전체주의적 방법 내지 구조주의적 방법에 근거한 사회학.

에 대비된다. 거시사회학은 분석단위로서 집단·조직·체계를 설정하고, 방법론적으로 개별 성원들의 일반적 행위양식이 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구조주의적 방법론을 선호한다. 그러므로 거시사회학의 분석대상은 흔히 , 체제변동, 종교 및 문화, 경제제도 및 사회제도, 산업구조 등 비교적 큰 단위가 된다. 예를 들면 혁명에 관한 고전적 연구로 기어(Gurr)의 《왜 사람들은 반항하는가?》와, 스카치폴의 《국가와 사회혁명》을 들 수 있다. 전자가 혁명이라는 거시적 현상을 개별 성원들의 불만과 심리적 불안정 등 인성적 측면에서 설명하는 데 비하여, 후자는 국가의 재정위기와 제도붕괴 등의 거시적 현상으로 설명한다. 혁명이라는 거시적 현상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일단 양자는 거시사회학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전자는 설명기준이 개별 성원의 성격이라는 점에서 미시사회학으로, 후자는 국가와 조직의 특성 및 제도적 요인이라는 점에서 거시사회학으로 구분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미국의 사회학자인 파슨스의 구조기능론은 미시·거시 사회학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개별 인간의 단위행위(unit act)의 구조를 규명한 그의 초기이론인 일반행위론은 미시사회학적 전통에, 정치·경제·문화·사회의 4가지 하위(下位)체계와 이들간의 상호의존 관계를 설명한 사회체계론은 거시사회학적 전통에 각각 속한다. 미시사회학은 문화 또는 등의 현상을 개별 성원의 창의적 행위와 사고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데 반하여, 거시사회학은 그 자체가 생명력과 내적 논리를 갖는 정신적 실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