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가

도덕가

[ 道德歌 ]

요약 작자, 연대 미상의 동학 가사.

최제우는 하늘이 낸 이므로 그를 따르라는 내용을 4·4조를 주조로 한 4음보격으로 읊었다. 《용담유사(龍潭遺詞)》 권21에 <수시경세가(隨時警世歌)> <권선치덕가(勸善致德歌)> <추본수덕가(推本修德歌)> <지본수련가(知本修煉歌)> <몽각명심가(夢覺明心歌)> 등 5편이 실려 전한다. 김주희(金周熙)가 지었다고 하나 알 수 없고,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본부에서 1929년 국한문 혼용본과 국문본 2종을 으로 발간하였다.

<수시경세가>는 171행으로, 최제우의 《용담유사》에 수록된 <안심가> <교훈가>의 일부를 인용하여 하늘이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니 그 뜻을 따라야 하며 특히 최제우는 하늘이 낸 스승이므로 그의 말을 잘 따르라는 내용이다. <권선치덕가>는 89행으로, 서두를 한문투로 썼고 최제우의 교훈을 받들고 부모를 공경하라는 내용이다.

<추본수덕가>는 355행의 장편가사로, 와 경(敬)으로 천지부모를 잘 모시고, 최제우의 교훈을 잘 따르라는 내용이다. <지본수련가>는 146행으로, 최제우와 청림 선생의 등장은 천지운수(天地運數)의 필연적인 결과로 천지의 혈기를 나눈 몸이 최제우의 가르침을 받으면 체천(體天)되어 천지와 합해진다는 내용이다. <몽각명심가>는 139행으로, 최제우가 득도하기까지의 과정을 제시하고 1860년에 최제우가 득도한 그것을 찾아 꿈을 깨 시운을 정확히 파악하라는 내용이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