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포트

텔레포트

[ teleport ]

요약 광섬유, 통신위성 등을 이용한 고도의 정보통신처리기지.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항구를 뜻하는 포트(port)의 합성어로, 넓은 의미로는 ‘지역사회와 정보통신 네트워크가 결합됨으로써 완벽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개발 및 경제개발을 촉진하는 시설’을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송수신용의 파라볼라 안테나 등을 구비한 지상국과 정보처리를 위한 컴퓨터 설비 및 타지역과의 정보교환 및 주변 빌딩의 통신기능 제어를 위한 정보통제관리빌딩을 구성하고, 정보를 이용하는 각 기업과 케이블로 연결한 시스템’을 말한다.

1982년 미국 뉴저지주 항만국이 항만지역의 산업 쇠퇴에 대응하여 21세기 항구의 기본방향을 검토하던 중‘물품교류의 항구에서 정보교류의 항구’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뉴욕 텔레포트 계획을 수립, 발표하면서부터 부각되기 시작한 용어이다. 텔레포트는 기본통신서비스 외에 쾌적한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통신망 서비스는 국제통신서비스, 지역과의 통신서비스, 지역 내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 종합유선방송 서비스, 각종 정보제공 서비스 및 도시관리 서비스로 구분된다.

국제통신 서비스로는 화상회의서비스, 금융통신망서비스(홈뱅킹), 국제금융 부가가치 통신망서비스 등이 있고, 타지역과의 통신서비스로는 타지역간 화상회의 서비스, 기업 내 서비스, 캐드캠(CAD/CAM) 시스템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이 있다. 지역 내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로는 전자신문 서비스, 멀티미디어 변환서비스, 자동번역서비스, 전자결재서비스, 예약서비스, 고화질(HD) 텔레비전 방송서비스 등이 있다.

종합유선방송서비스는 오락 ·교육 ·교양 ·의료 ·복지, 생활뉴스 ·경제소식, 행정 ·금융 등과 원격검침 및 원격안전관리에 관한 서비스 등이 있다. 텔레포트 지역 내 정보의 축적 및 탐색기능을 제공하는 각종 정보제공서비스로는 문자, 동(정지)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제공서비스와, 거리에 설치한 전자게시판, 지역집단간 화상게시판, 에서 전송된 각종 기상정보 검색서비스 등이 있다. 국제화에 대응하는 도시기능을 충분히 하고 환경 ·주거 ·교통 ·에너지 쓰레기처리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관리서비스로는 도시시설 운영관리시스템, 도시안전 관리시스템, 교통정보시스템, 원격 행정창구서비스, 건강의료 보조시스템, 위치인식 ·위치유도 시스템 등이 있다.

텔레포트가 미래 지역사회 정보중심지로 등장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텔레포트 건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1993년 현재 미국 ·일본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등 각국에서 운용 중인 것과 계획 중인 것은 이미 70여 지역이 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뉴욕 텔레포트, 콜로라도의 에어로컴(Aerocom) 텔레포트를 포함하여 1993년 현재 운용 중인 텔레포트는 33개이며,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텔레포트도 74개 지역 이상이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을 텔레포트로 지정하여 201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