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데이터통신망

국제데이터통신망

[ 國際-通信網 ]

요약 컴퓨터를 통하여 국제간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정보전달체계를 말한다. 1969년 미국 국방부의 지원에 의해 학술정보 교환을 위해 미국내 몇 개 대학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ARPANet의 발표 이후, 수만 개의 다양한 망이 전세계에 운용되고 있다

데이터 통신망은 정보기기 사이에 2진 형태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 매체로서 주로 컴퓨터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컴퓨터망으로도 표현한다. 1969년 미국 국방부의 지원에 의해 학술정보 교환을 위해 미국내 몇 개 대학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ARPANet의 발표 이후, 컴퓨터망은 자원 및 정보를 공유하고 공간을 초월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만 개의 다양한 망이 전세계에 운용되고 있다. 지역적 서비스 범위도 커져 바이트넷(BITNET), 파이도넷(FidoNet), 인터넷(Internet) 등의 국제데이터통신망이 전세계를 연결하고 있다.
바이트넷은 because it is time to network를 의미하며,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각국의 대학 및 관련 연구기관, 정부기관들을 연결하고 있다. 9,600 bps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50여 국가 3,000여 노드의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미국의 CREN(Corporation for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ing)에 의해 비영리적으로 운영 관리되고 있다. 바이트넷은 IBM NJE(Network Job Entry)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고 있는데, 축적전송(store-and-forward) 서비스를 하므로 원격 로그인(login)과 같은 교호성 서비스에는 부적당하다. 대표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교환과 거의 모든 학문적인 주제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List Serv 서비스가 있다. 한국의 경우는 서울대학의 IBM 컴퓨터가 일본과 연결되어 국제관문국 역할을 하고 있으며, 18개 노드가 연결되어 있다.
파이도넷은 미국의 한 사설 BBS(Bulletin Board System) 운영자가 BBS간의 다양한 정보교환을 위해, 전화선을 이용하여 전세계 2만 여 개의 BBS를 연결하여 구축한 망이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우편서비스인 Netmail과 특정 주제나 아이디어에 대해 에코(Echo)를 만들어 놓고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에코메일(Echomail) 노드가 있다.
인터넷은 미국 국방부의 ARPAN으로부터 발전하여 학술연구 및 상업적 목적으로 운영되는데, 130여 개 국가와 300만 대에 이르는 컴퓨터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컴퓨터통신망이다. TCP/IP를 기본 통신규약으로 하고, 45Mbps 급의 고속전송회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NSFnet을 기간망으로 하여 세계 곳곳의 3만 여 개의 망들을 연결하므로 ‘망들의 망(network of networks)’이라고도 한다. 제공하는 서비스는 원격지 컴퓨터를 거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원격 로그인, 파일 송수신을 위한 FTP(File Transfer Protocol),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전자우편 서비스, 그 외 뉴스, 접속, BBS, 오락 등의 서비스가 있다. 또한 Archie, Gopher,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s) 등의 서비스를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를 제공하는 등의 유용한 원천 프로그램을 공개하고 있다. 한국의 인터넷은 한국통신의 하나망(HANANet)이 미국 NASA Ames와 256Kbps 전용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시스템공학연구소(SERI)는 미국 샌디에이고 와 56Kbps의 독자회선으로 개설하여 서비스 중이다. 그 외에도 서울대학 등 여러 곳에서 인터넷과 접속 중이다.
인터넷과 인포넷(infornet)의 차이점은, 인터넷은 통신망과 통신망이 연결되므로 고정위치에서 활용하기가 편리하고,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이 가능하며, 전자우편 등 부가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인포넷은 단순히 통신망을 빌려주는 것이므로 부가서비스가 없다. 그러나 이동하며 사용하는 데는 편리하고 사용방법도 간단하다. 현재 인터넷은 학술연구의 근본취지에서 상업적 목적의 서비스로의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