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

해석

[ interpretation , 解釋 ]

요약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에서의 기호(記號)나 표현의 뜻을 어떤 조작(操作)을 통하여 밝히거나 또는 부여하는 일·인간의 몸짓·언어.

특히 문서의 해석을 말할 경우는 전자(前者)에 해당하고, 기호논리학에서 변항기호(變項記號)를 구체적인 명사(名辭)로 바꾸어 놓는 식(式)의 해석을 할 경우는 후자에 해당한다.

인간의 심적(心的) 생(生)의 표출(表出)을 더듬어 올라가서 거기에 담겨 있는 생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 예컨대 상대방의 표정에서 그 사람의 감정을 읽고, 또는 렘브란트의 의 배후에서 17세기 사람들의 종교적 심정을 간취(看取)하는 등 전자의 의미에서의 해석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별로 의식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소박한 형태로 경험하는 것이며 그것은 인간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의 해석을, 특히 역사적 문서를 소재로 하여 조직적인 기술로까지 완성한 것이 바로 해석학(hermeneutics)이라는 것이다.

해석학은 당초에 성서해석의 기술로서 발달하여, 나중에는 일반적으로 역사적 문서를 대상으로 하면서 오랜 역사적 전통 속에 성장해 왔는데, 이를 정신과학의 방법론으로서 이용하고, 또 구체적 연구에 적용하여 많은 성과를 올린 사람이 W.딜타이(1833∼1911)이다.

딜타이의 해석학은 또한 인간의 생의 구조 자체를 그 근원에서부터 밝히려고 하는 M.하이데거(1889∼1976)의 해석학적 (現象學)에서 한층 심화되어 오늘날 인문계 제반 학문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