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금관

천마총 금관

[ Gold Crown from Cheonmachong Tomb , 天馬塚 金冠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천마총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금관. 1978년 12월 7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천마총 금관

천마총 금관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78년 12월 7일
소장 국립경주박물관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크기 높이 32.5cm, 지름 20cm

1978년 12월 7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2.5cm, 지름 20cm이며,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발굴조사 당시 시체의 머리에 착용된 채 발견되었다.

비교적 두텁고 넓은 금판(金板)을 오려 구부려서 양쪽 끝에 뚫린 2개의 구멍에 맞추어 꿰어 원형의 머리에 맞게 대륜(臺輪)을 만들고, 그 위에 출자형(出字形)의 입식(立飾) 2개를 세운 전형적인 신라금관이다. 금관에 달린 장식은 금으로 만든 수많은 작은 달개[瓔珞]와 비취곱은옥[翡翠曲玉]을 금으로 만든 실로 매달아 호화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이 금관은 그 견고한 점, 좋은 질의 금이라는 점 등으로 보아 지금까지 출토된 금관에 비해서 실용성이 있다. 또한 정연하게 배치된 많은 곱은옥 등으로 볼 때 신라의 대표적 금관이라 할 수 있고, 이것이 발전 팽창기에 있던 고신라(古新羅)의 국력과 왕권을 상징한다. 신라 어느 왕의 금관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함께 출토된 유물을 통해 볼 때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천마총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