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곡

이곡

[ 李穀 ]

요약 고려시대의 학자. 1333년 원나라 정동성 향시에 수석으로 급제하였다. 원제(元帝)에게 건의하여 고려에서의 처녀 징발을 중지하게 했다. 문장에 뛰어났고 고려에 돌아와 정당문학을 지냈다.
가정목은선생문집판

가정목은선생문집판

출생-사망 1298 ~ 1351
본관 한산(韓山)
중보(仲父)
가정(稼亭)
시호 문효(文孝)
별칭 초명 운백(芸白)
활동분야 경학
주요작품 《가정집(稼亭集)》

본관 한산(韓山). 초명 운백(芸白). 자 중보(仲父). 호 가정(稼亭). 시호 문효(文孝). 이제현(李齊賢)의 문인. 1333년(충숙왕 복위 2) 원나라 정동성 향시에 수석을로 급제하였다. 정동행중서성 좌우사원외랑(征東行中書省左右司員外郞)이 되었고, 원제(元帝)에게 건의하여 고려에서의 처녀 징발을 중지하게 했다. 1344년 귀국, 이듬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와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 문장에 뛰어나 원나라에서도 그를 외국인으로 보지 않았다.

이제현과 함께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증수(增修),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3조의 실록(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고려대(高麗代) 가전체 작품 《죽부인전(竹夫人傳)》은 대나무를 의인화한 것으로 《동문선(東文選)》에 전하며, 백이정(白頤正) ·우탁(禹倬)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경학(經學)의 대가로 꼽힌다.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에 배향되었다. 문집에 《가정집(稼亭集)》이 있다. 목은 이색(牧隱 李穡)이 그의 아들이고 토정 이지함이 그의 8대손이다.

참조항목

가정집, 죽부인전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문헌서원

문헌서원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