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척

축척

[ scale , 縮尺 ]

요약 지표상의 실제거리와 지도상에 나타낸 길이의 비율.

지표면에서의 실제 거리를 지도 등에 나타낼 때, 얼마 만큼의 비율로 줄였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즉, 실제 거리를 1,000분의 1로 줄여서 지도에 표시했을 경우 그 지도의 축척은 1/1,000이 된다. 일반적으로 분자를 1로 하는 분수형이나 또는 비례형의 숫자로 표시하며, 거리 눈금자 등 그래픽 형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축척은 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지도를 만들 때 대상 지역의 크기나 지도의 이용 목적 등에 따라 축척이 결정된다. 지도는 축척에 따라 대축척지도소축척지도로 나뉘는데, 대축척지도는 축척이 큰 지도로 대상 지역을 상대적으로 크게 그렸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교적 좁은 지역이 세밀하게 그려지며, 일반적으로 축척이 1/50,000 이상인 지도를 대축척지도라 한다. 예로써 1/50,000, 1/25,000, 1/5,000 지형도들이 있다. 이와 달리 축척이 작은 지도인 소축척지도는 대상지역을 상대적으로 더 작게 그린 지도로, 우리나라 전도나 세계 전도와 같이 넓은 지역을 개관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1/1,000,000보다 작은 지도들을 소축척지도라 하며, 대륙이나 세계 지도에 사용되는 수천만분의 1 지도나 우리나라 전도에 많이 쓰이는 1/1,000,000~1/2,000,000 지도들이 있다. 한편, 대축척지도와 소축척지도 사이의 지도를 중축척지도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 절대적인 수치로 정해져 있지는 않다.

어떤 지도의 축척이 1/50,000일때, 지도상 거리 1cm의 실제 거리는 1cm×50,000=50,000cm가 되어, 곧 500m(0.5km)를 나타낸다.

참조항목

중축척도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