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위원소희석분석법

동위원소희석분석법

[ isotope dilution analysis , 同位元素稀釋分析法 ]

요약 동위원소의 희석비(稀釋比)에 따른 비방사능(比放射能:단위 질량당 방사능)의 감소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분석법이다. 이 방법은 시료의 분리가 어려운 생화학·생물학·생리학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분석하려는 원소(또는 ) x g이 섞인 시료에, 이미 알고 있는 양의 가 포함된 동일한 원소 a g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첨가한 물질의 비방사능을 A1이라 하면, 의 비방사능 A2=aA1/(a+x)가 된다. 이 원소(또는 화합물)를 순수한 상태로 분리하고(이때 회수율이 100%일 필요는 없다), 분리한 원소(또는 화합물)의 비방사능 A2를 측정하면 위 식에 의해서 x를구할 수 있다.
동위원소희석분석법은 시료를 100% 회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복잡한 시료를 많이 취급하는 ·· 등 시료의 효과적 분리가 어려운 분야에서 유용하다. 이런 방법을 직접희석법이라 하는데, 에서는 핵반응의 수득률(yield)을 측정하는 데에 역희석법(逆稀釋法)을 쓴다. 이는 여러 가지 방사성핵종(放射性核種)이 들어 있는 시료에 아는 양의 비방사성물질(非放射性物質)을 첨가한다는 점만 다르며 계산 과정에서는 위에서 사용한 식 중 a와 x를 바꾸어 써야 한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