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교육부

[ Ministry of Education , 敎育部 ]

요약 대한민국의 인적자원 개발정책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 1948년 문교부로 출범하여 1990년 교육부,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3월 다시 교육부로 개편되었다.
구분 중앙행정기관
설립일 1945년
설립목적 인적자원 개발정책과 교육정책 수립,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 관장
주요활동/업무 초·중·고등교육, 평생교육, 인적자원 개발정책, 학술 등에 관한 정책 수립·시행과 사무 관장, 교육기관·소속기관·산하단체 지휘 및 감독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08(어진동 180) 세종청사 14동 교육부
규모 3실 3국 10관 49과

1948년 7월 정부조직법에 따라 1실(비서실), 5국(보통교육국·고등교육국·과학교육국·문화국·편수국) 22과로 구성된 문교부로 설치되었다. 1961년 문화공보부가 신설되면서 문화 관련 사무를 이관하였고, 1982년 신설된 체육부에 체육 관련 사무를 이관하였다. 이후 1990년 12월 교육부로 개칭되었고, 2001년 1월 국가 수준의 인적자원 개발정책을 수립하고 총괄·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 개편되고 장관은 부총리급으로 격상되었다.

2008년 2월에는 폐지된 과학기술부의 일부 기능을 통합하여 로 개편되고 부총리제가 폐지되었다. 2013년 3월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다시 교육부로 개편되었고, 종전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관련 업무는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

주요 업무는 교육에 관한 중장기 발전계획의 수립, 초·중등학교 교육제도 및 입학제도의 개선, 고등교육 기본정책의 수립 및 시행, 공교육 정상화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지방교육자치제도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 개선, 인재개발 정책의 기획 및 총괄 등을 비롯한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인적자원 개발정책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것이다.

조직은 장관 1명과 차관 1명 밑에 3실(기획조정실·교육정책실·대학지원실) 3국(지방교육지원국·평생직업교육국·교육정보통계국) 10관(감사관·정책보좌관·정책기획관·국제협력관·학교정책관·창의인재정책관·학생복지안전관·대학정책관·대학지원관·학술장학지원관) 49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속기관으로 ···교원소청심사위원회·국립국제교육원·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