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부여와 고구려에서 족장(族長) 및 고관의 칭호.

또는 초기 왕국이 등장하면서 부족장을 가(加)·간(干)·상(相) 등으로 표현하였다. 고조선의 이계상(尼谿相), 부여의 제가(諸加:馬·牛·狗·猪加), 신라의 왕호(王號)인 (居西干:군장)·마립간(麻立干:대수장), 고구려의 상가(相加)·(古雛加) 등에서 가는 간·상과 같은 말로, 수장(首長), 부족장 및 고관의 칭호이다. 이 말은 원래 몽골계 언어의 칸[汗:귀인]·가한(可汗:대인) 등 부족국가 시대의 한(韓)·한(邯)·금(今)과 같은 말이며, 부족장을 뜻하던 것이 가 형성되면서 장관(長官)·대관(大官)의 직명으로 바뀌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