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민서

혜민서

[ 惠民署 ]

요약 조선시대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를 맡아본 관청.
혜민서터

혜민서터

구분 조선시대 의료기관
설립일 1466년(세조 12)
설립목적 의약과 일반 서민의 치료

조선 태조 초기에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혜민고국(惠民庫局)을 설치하였고 이후 혜민국(惠民局)이라 불렀다. 1466년(세조 12) 혜민서로 바꾸었다가, 1882년(고종 19) 폐지하였다. 관원은 타관이 겸임하는 제조(提調) 1명, 주부(主簿) ·의학교수 ·직장(直長) ·봉사(奉事) ·의학훈도 각 1명과 참봉 4명이 있었다. 그 중 채용시험의 최고 득점자와 직장 이상의 관원 중 1명은 구임원(久任員)이고, 그 외는 체아직(遞兒職)이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