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등

형광등

[ fluorescent lamp , 螢光燈 ]

요약 진공으로 된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 가스를 넣고 안쪽 벽에 형광 도료를 칠하여,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조명하는 등.
형광등

형광등

형광등의 구조

유리관의 내벽에 이 도포되어 있다. 양쪽에 텅스텐 코일로 만들어진 2중, 3중 코일의 로 설치된 전극을 넣고, 그 속에 열전자를 방출하는 이미터(emitter)를 충전한다. 이미터는 전자방사를 왕성하게 하기 위하여 바륨 등의 산화물(酸化物)이 사용된다. 유리관 내부는 진공으로 한 후, 소량의 수은과 가스를 봉입한다. 또 점등을 쉽게 하기 위하여 (點燈管)을 사용한다. 형광등은 방전등의 성격상, 방전이 시작되면 관전류(管電流)가 점점 증가하여 전극을 파괴하여 버리므로, 전류를 어느 값 이하로 제한하기 위하여 초크코일 등의 안정기를 사용한다.

형광등 본문 이미지 1

점등 원리를 보면, 먼저 점등관의 바이메탈 전극이 발열하여 쌍전극에 접촉한다. 이때 형광등에는 정상의 2배 가까운 전류가 흘러 코일이 예열(豫熱)된다. 예열에 의하여 이미터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고, 이는 방전에 의하여 포화증기가 된 수은증기에 작용하여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자외선은 관벽의 형광물질에 의해 가시광선이 되며, 형광물질의 종류에 따라 백색, 주광색, 녹색, 청색 등 여러 가지의 빛이 램프로부터 방사되어진다.

형광등 본문 이미지 2

형광등의 종류

형광방전등의 크기는 W수로 표시하며, 10~40W 이외에, 4~8W의 저출력관, 60~110W의 고출력관, 110~220W의 초고출력관이 있다. 색은 일반조명용에 주광색(晝光色)·백색온백색(白色溫白色), 자연색·자연백색 등이 있으며, 특수조명용으로는 청·녹·황·적·도홍색 등의 착색형광등이 있다. 그 밖에 특수한 용도의 형광등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반사형광등 : 관의 내역에 반사막을 설치하여 직하광도를 높인다. 따라서 반사감이 필요없고 먼지가 많은 장소 등에 적합하다.
② 급속형광등 : 점등관을 사용하지 않고, 특수코일과 도전(導電)스트라이프를 사용하여 즉시 점등시킨다. 큰 빌딩·공장·지하도 등에서 사용한다.
③ 저온용 : -20 ℃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냉동실이나 한랭지에서 사용한다.
④ 직류형광등 : 차량·선박, 빌딩이나 공장의 비상등 등의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곳에서 쓴다.
⑤ 살균등 : 파장 260nm 부근의 자외선이 가진 살균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살균선 투과율이 좋은 특수유리를 사용한다. 공기살균·소독, 보존을 위한 기물의 직접살균 등에 사용한다.
⑥ 건강선(健康線) 형광등 : 파장 280~320 nm의 자외선의 건강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실 등에서의 일광욕이나 치료, 가축 등의 사육에 사용한다.
⑦ 블랙라이트 : 자외선의 형광작용을 이용하여 금속마무리면·주물(鑄物)·보석·미술품 등의 각종 정밀검사에 사용한다.
⑧ 화학램프 : 자외선이 가지는 광화학(光化學) 반응작용을 이용하여 복사기나 사진제판 등에 사용한다.
이 밖에도 무자외선 형광등이나 식물육성용·관상용·잎담배 선별용·포충용(捕蟲用) 형광등이 있다. 

형광등의 특성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하여 효율이 좋고, 소비전력은 1/3 정도이다. 또 빛이 부드럽고, 수명도 5~6배(약 3,000시간) 길다. 형광등의 정격전압은 ± 6% 이내이며 전압이 높으면 흑화(黑化)가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진다. 또 전압이 낮으면 점등하지 않는다. 형광등은 1회의 점멸로 약 1.5시간 정도 수명이 줄며, 점멸 횟수가 적은 곳에 사용하면 좋다. 주위의 온도에 의하여 특성이 변동하며, 0~40℃ 범위 외에서는 점등하기 어렵고 밝기가 저하한다. 수명이 지난 형광등은 형광물질이 열하하여 광속(光束)이 감퇴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