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혈관

[ blood vessel , 血管 ]

요약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통로.

심장의 좌에서 나와 대동맥이 되고, 점차 가지를 쳐서 세동맥 → 모세혈관 → 세정맥이 되며, 점점 모여서 굵은 정맥이 되어 으로 들어간다. 사람의 혈관을 일직선으로 연결한다고 하면 약 10만km에 달하며, 지구를 두 바퀴 반 정도 도는 거리에 해당한다. 혈관의 내강(內腔)은 하나의 닫힌 방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혈관벽의 구조는 부위에 따라 다르다.

혈관 본문 이미지 1동맥모세혈관정맥

동맥

동맥의 벽은 내막·중막·외막의 세 층으로 되어 있다. 내막은 내피세포(內皮細胞)와 이것을 덮고 있는 탄력성 섬유로 되었고, 중막은 탄력성 섬유와 고리 모양의 민무늬근으로 되어 있다. 외막은 주로 혈관과 주위의 조직을 연결하는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다.

혈관 본문 이미지 2

동맥 중에서도 대동맥이나 폐동맥과 같이 굵은 동맥에서는 벽의 탄력성 섬유가 잘 발달되어 있으므로 탄성이 풍부하다. 따라서, 심실에서 밀려나온 혈액에 의하여 혈관벽이 넓어지고, 넓어진 내강에 혈액이 괴지만, 심장으로부터의 박출(拍出)이 끝나도 스스로의 탄성에 의하여 말초에 괸 혈액을 압류(押流)시키므로 단속적인 혈류(血流)를 연속적으로 흐르게 한다.

동맥이 차차 가지를 쳐서 가느다랗게 된 세동맥에서는 혈관벽의 민무늬근이 잘 발달해 있다. 이 근의 긴장상태를 변화시킴에 따라서 혈관의 내경(內徑)이 변하고, 그 결과 혈류에 대한 저항이 현저하게 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동맥은 혈류를 조절하게 되지만, 동시에 혈압의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인자가 된다. 예를 들면, 전신의 세동맥이 수축하면 저항이 현저하게 높아지는데, 그 저항을 이기고 혈액을 흐르게 하기 위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이것이 의 발생과정이다. 또한, 이 민무늬근에는 신경이 와 있으므로 근의 긴장상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신경을 이라고 하며, 이 신경섬유에는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여 혈관을 수축시키는 것과, 을 분비하여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이 있다.

모세혈관

세동맥이 다시 가지를 쳐서 가느다랗게 된 것을 모세혈관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는 근세포나 결합조직도 없고 내피세포만으로 되어 있으므로 혈액은 얇은 내피세포를 중개로 하여 조직과 접하게 되어, 혈관 내외의 물질 교환에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혈관 본문 이미지 3

모세혈관의 기본적인 구성은 세동맥에서 후세동맥(後細動脈)이 되는데, 여기에는 아직 주위에 민무늬근이 있다. 이 후세동맥으로부터 민무늬근이 없는 모세혈관이 분기하는데, 그 분기부에서는 민무늬근이 특히 발달하여 전모세혈관괄약근(前毛細血管括約筋)이라고 하며, 혈류를 조절한다. 후세동맥은 세동맥에서 세정맥으로 직통하는 통로와 같은 것으로, 조직이 활동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혈액은 거의 이곳만을 흐르게 된다. 그러나 조직이 활동을 시작하면 전모세혈관괄약근이 이완하여 모세혈관에도 혈액이 흐르게 되어 혈류가 현저하게 증대한다.

모세혈관에도 신경이 있어 혈류를 조절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물질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조직의 활동이 왕성해지면 이산화탄소나 이 축적되고, 이것이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증가시킨다. 침샘 등의 분비선의 활동이 높아지면 브라디키닌이 분비되고, 이것이 혈관을 확장시킨다. 또 혈관이 손상을 입으면 에서 세로토닌이 유리하여 혈관을 수축시키고 지혈(止血)을 돕는다. 모세혈관에서의 물질 교환은 농도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혈액 속의 고농도의 산소는 조직액으로 확산되어 가고, 조직액 속의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는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이 확산을 다시 능률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혈관 내외의 수분의 이동이 있다. 그것은 모세혈관 내의 혈액과 조직액과의 사이에 압력차(壓力差)가 있기 때문이며, 모세혈관의 동맥측에서는 혈액의 압력이 높으므로 수분이 혈관 내에서 밖으로 흘러나가고, 정맥측에서는 조직액의 압력이 높으므로 수분이 밖에서 혈관 내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정맥

정맥은 내막·중막·외막의 세 층으로 되는데, 민무늬근과 탄력섬유가 적고 결합조직이 많기 때문에 탄력성이 작다. 이 때문에 약간의 내압의 증가로도 잘 전달되며, 혈액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탄력이 없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다리의 정맥에서는 혈액속에서 생기는 압력으로 인하여 팽팽하게 늘어나다가 터지겠지만, 정맥의 내강의 군데군데에 정맥판(靜脈瓣)이 있어서 혈액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혈관 본문 이미지 4

혈관의 특성

혈관 본문 이미지 5정맥동맥대동맥모세혈관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