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테로

헤테로

[ hetero ]

요약 주로 생물학에서 이형접합자(heterozygote)나 이형배우자(heterogamete)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

헤테로(hetero-)는 그리스어에서 사용되던 접두어로서 '다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로 '같은'의 뜻을 지닌 접두어 'homo-'의 반대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까지도 유럽 계열의 언어군에서 'hetero'로 시작되는 단어는 '다른' 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 헤테로라는 단어는 주로 과학 부분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형접합자(異型接合子: heterozygote)나 이형배우자(異型配偶子: heterogamete)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로 자주 사용한다. 이외에도 서로 다른 구조나 기능에 대해 헤테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형접합자
생물학에서 접합자(接合子: zygote)는 배우자가 서로 결합한 형태의 세포, 즉 포유류의 경우에는 수정란 세포를 가리키는 단어지만 이형접합자라고 할 때의 접합자는 그와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형접합자는 이형접합체(異型接合體) 또는 이형접합형(異型接合形)라고도 하며 이는 모두 heterozygote을 번역한 단어이다. 또한 동형접합자(同型接合子: homozygote)와는 반대 의미를 가지는 단어가 된다. 이형접합자는 한 쌍의 상동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대립가 서로 다를 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즉 A라는 유전자가 있고, 이 유전자의 을 A, 을 a로 표기하면 이형접합자는 Aa가 된다. 이것을 간단히 줄여서 그냥 헤테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물학에서는 어떤 유전자 gen이 있으면 우성을 +, 열성을 -로 하여 우성 동형접합은 gen +/+, 열성 동형접합은 gen -/-, 이형접합은 gen +/- 같은 식으로 표기한다. 이 때 열성은 유전자가 작동하지 않게 하는 넉아웃(KO: knock-out) 방식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형배우자
이형배우자는 생물학, 특히 분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다. 배우자(配偶子)는 정자와 난자 같은, 상동염색체가 반으로 쪼개져 있는 상태의 생식세포를 말한다. 즉 배우자가 서로 결합하여 접합자가 되는 것이다. 이형배우자는 이 배우자의 형태나 크기가 다를 경우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배우자의 크기는 암수를 나누는 기준이 되며, 배우자가 큰 쪽을 암컷, 배우자가 작은 쪽을 수컷이라고 부른다. 해조류 중에서는 다시마나 채찍말이 이와 같은 이형배우자를 가진다. 또한 많은 생물에서 암컷 배우자는 난자, 수컷 배우자는 정자라고 하며 두 가지의 크기가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도 모두 이형배우자에 속한다. 단 정자, 난자는 수컷 배우자만이 운동성을 가지고, 암컷 배우자가 운동성을 잃었을 경우에 그와 같이 구분하게 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