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의거

헝가리의거

요약 1956년 10월 23일부터 13일간에 걸쳐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발생한 민족자립과 자유화를 위한 대규모 반소(反蘇)운동.
언제 1956년 10월 23일부터 13일간
어디서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누가 작가 ·학생 ·시민
무엇을 시위를 통해 너지의 정권복귀를 요구
어떻게 소련군의 군사개입과 중도파 카다르 정권 수립
민족자립과 자유화

1953년 스탈린이 죽은 후 1956년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스탈린비판이 일기 시작하자, 동유럽 제국(諸國)에서는 비(非)스탈린화 운동의 파도가 거세게 일어났다.

특히 폴란드에서는 6월에 포즈난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10월 소련의 압력을 물리치고 당시의 개혁파 민족공산주의자의 중심 인물인 고무우카가 당 제1서기에 선출되었다. 당시 헝가리의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소(小)스탈린’이라 불린 라코시는 개혁을 완강히 거부하고 있었으므로, 10월 23일에 작가 ·학생 ·시민의 시위가 일어나 치안당국과의 무력충돌이 발생하였다.

게레와 교체된 라코시에 의하여 부분적인 민주화 조치가 강구되고 있었지만, 국민은 불만을 품고 너지의 정권복귀를 요구하였다. 정부는 개혁파의 너지를 수상으로 지명함과 동시에, 소련의 군사개입을 요청하였다. 군사개입은 국민을 더욱 흥분시켰으며 반소기운이 고조되자, 정부는 공산당의 독재제도를 폐지하고 복수정당에 의한 연립정권을 수립하여 에서의 탈퇴와 중립을 선언하였다.

그러자 대규모의 소련군이 투입되었고, 12월 4일 제2차 대규모 군사개입을 단행하여 헝가리 전국토를 장악하였다. 이어 라코시파와 너지파의 두 파를 추방한 뒤, 중도파 에게 정권을 수립시켰다. 카다르 노동혁명 정부는 소련에서 수립되었다.

수상 너지는 소련군에 납치되어 처형되었다. 민족의 자주독립과 자유민주화의 기수였던 너지는 헝가리의 애국자였다. 헝가리의거로 수천명이 희생되었고 무력저항은 11월에 종지부를 찍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