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셜

허셜

[ Friedrich William Herschel ]

요약 독일 출생의 영국 천문학자.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관측에 열중하여, 마침내 항성천문학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그의 주요업적은, 대형 망원경의 제작, 천왕성의 발견, 쌍성의 발견과 《쌍성목록》의 편집, 항성계수(恒星計數)와 은하계의 발견, 《성운 ·성단목록》의 작성, 태양계의 운동 입증 등이다.
허셜

허셜

출생-사망 1738.11.15 ~ 1822.8.25
국적 영국
활동분야 과학
출생지 독일 하노버

독일 출생. 음악가의 아들로 태어나 7년전쟁에 종군하였다가 탈주하여 영국으로 건너갔다. 1766년 런던 교외의 작은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로 있으면서, 천문서적을 탐독하여 천문학에 관한 실력을 쌓았다. 그 후 자신이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관측에 열중하여, 마침내 항성천문학의 시조(始祖)가 되었다. 그의 주요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대형 망원경의 제작 : 1774년 초점거리 168cm의 반사망원경을 제작하였고, 이듬해에는 초점거리 213cm(지름 16.5cm), 1789년에는 초점거리 1,219cm(지름 122cm)의 거대한 망원경을 완성하였다. 구조는 개량 뉴턴식의 것으로, 이른바 허셜식 망원경이었다.
② 천왕성의 발견 : 1781년 초점거리 213cm 망원경으로 (黃道)를 관찰하던 중에 과 비슷한 밝은 천체를 발견하였다. 궤도계산 결과 그것은 새로운 행성으로 판명되었고, 천왕성이라고 명명됨으로써 당시 알고 있던 태양계의 범위를 두 배로 넓혔다.
③ 쌍성의 발견과 《쌍성목록》의 편집 : 연주시차(年周視差)를 검출할 목적으로 갈릴레이가 언급한 쌍성을 조직적으로 관측하여, 1782년과 1784년에 800여 개의 《쌍성목록》을 작성하였고, 1802년 쌍성 중에서 케플러운동을 하는 것들을 확인하였다.
④ 항성계수(恒星計數)와 은하계의 발견 : 1783년 천구상에서 항성의 분포상태를 조사하기 시작하였다. 통계적으로 밝은 별은 가까운 별이고 어두운 별은 먼 별임을 생각하고, 별들이 원반 모양을 이루고 있음을 발견하여 은하계의 구조에 대한 기초를 수립하였다.
⑤ 《 ·성단목록》의 작성 : 전체 하늘을 조직적으로 관측하여 1786년, 1789년, 1802년의 3회에 걸쳐 총 2,500개의 성운 ·성단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⑥ 태양계의 운동 입증 : 1783년 밝은 별 7개의 고유운동에 대한 통계를 내어 발산점(發散點)을 찾아내고 그것을 우주공간에서 태양계 운동의 (向點)이라고 해석하고, 지동설(태양중심설)의 우주관에 대하여 수정을 가하였다.

이러한 공적으로 1782년 왕실천문관(天文官) 겸 왕립학회 회원으로 천거되고, 1816년 작위(爵位)를 받았으며, 1822년 왕립천문학회 회장이 되었다.

허셜 연보
출생 1738.11.15~ 사망 1822.8.25

1738

11월 15일 독일 하노버에서 출생.

1774

초점거리 168cm의 을 제작.

1789

초점거리 1,219cm(지름 122cm)의 거대한 을 완성.

1781

으로 를 관찰하던 중에 과 비슷한 밝은 천체를 발견.
새로운 인 의 발견으로 기존 우주보다 두 배 더 큰 우주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됨.

1783

의 고유운동에 대한 통계를 내 발산점을 찾아내고 이를 운동 해석에 적용함으로써 (태양중심설) 우주관을 수정.

1784

800여 개의 《목록》을 작성.

1786

전체 하늘을 조직적으로 관측하여 《 ·목록》을 작성하기 시작.

1816

기사작위를 수여받음.

1822

왕립천문학회 회장을 지냄.
8월 25일 잉글랜드 버크셔에서 사망.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