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평가

행동평가

[ evaluation of behavior , 行動評價 ]

요약 인간의 행동양식(行動樣式)을 객관적 척도로써 제시하는 방법.

적으로 인간의 행동은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눈다. 즉, 인지적 영역(認知的領域:cognitive domain), 정의적 영역(情意的領域:affective domain), 심리운동적 영역(心理運動的領域:psychomotor domain)이 그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행동평가라고 할 때는 좁은 의미의 행동인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말한다. 또 더욱 좁은 의미로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에 기재된 '행동발달상황'의 각 항목을 지칭하는 뜻으로 쓰인다. 즉 그것은 심리적·사회적·생물적 존재로서의 인간행동을 이해한다는 입장이 아니라 가치적 입장에서 평가하려는 것이다. 여기서 행동평가의 행동이라 하는 것은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가져야 할 필요한 자질을 나타내는 생활행동의 습관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치적 개념이 포함된 것이다.

행동평가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에는 주로 ·평정법····체크리스트법(check list method)·추인법(推人法), 각종 척도법·사례연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을 다각적·종합적으로 활용할 때 비로소 행동평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아동의 기본적 생활 습관을 평가하는 항목은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것은 주로 관찰을 통해 교사가 평가하게 된다.

① 항상 자신과 타인의 건강과 안전에 주의한다(청소·급식·위생검사의 관찰). ② 바른말 고운말을 쓰며 깨끗한 복장을 한다(등·하교의 행동이나 유희 장면의 관찰). ③ 예의가 바르다(교사·친구·참관인에 대한 태도의 관찰). ④ 신변의 정리·정돈을 잘 한다(책상서랍이나 소지품 정리와 활용의 관찰). ⑤ 시간이나 물건을 아껴 쓴다(집합시간이나 학교 규칙을 지키는 태도의 관찰).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