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의학

핵의학

[ nuclear medicine , 核醫學 ]

요약 원자로나 사이클로트론으로 만든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이용하는 의학이다. 대부분 세포와 아세포 수준에서 발생하는 생물학 과정을 반영하는 분자영상의학의 한 분야이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의학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1년경이며,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65년 이후부터이다. 현재는 ··소아과 등 모든 임상과에 이용되고 있으며, 독립된 부문으로 성장하고 있다.

혈액 속의 호르몬·항원과 같은 미량성분을 방사성 시약(아이오딘 125 125I, 아이오딘 131 131I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극미량 포함)에 의하여 정량(定量)하는 방법, 환자에 미량의 방사성 약물을 투여하고 방사성 약물로부터 방출되는 膨선을 예민한 측정장치(신티카메라 등)로 밖에서 측정하여 장기의 기능검사와 형태 묘사를 행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 핵의학에 의한 검사·진단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위험성도 없으며, 비교적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