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상학

해양기상학

[ maritime meteorology , 海洋氣象學 ]

요약 해양 위의 기상현상 또는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기상학의 한 분야로 해면 위의 대기현상 및 대기현상이 해양의 표층수와 심층수에 미치는 영향, 해양의 표면이 대기에 주는 영향을 연구한다.

해면 위의 대기현상 및 대기현상이 해양의 표층수(表層水)와 심층수(深層水)에 미치는 영향, 해양의 표면이 대기에 주는 영향을 연구한다. 대기와 해양은 상호작용하면서 여러 가지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으므로 대기는 기상학, 해양은 해양학으로 독립적으로 연구해도 해명되지 못하는 문제가 많아 대기 해양계로 통일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종전에는 항해 ·어업의 안전과 경제에 공헌하기 위한 응용과학이라 하여 일기예보 ·해황예보(海況豫報)에 중점을 두었지만, 1959년 세계기상기구(WMO)가 정한 정의와 같이 최근에는 기초과학으로의 성격이 중요시된다. 해양기상학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는 연구분야로서는 해양과 대기 내의 (熱收支), , 파장, (潮汐)과 (潮流)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