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심밀경

해심밀경

[ 海深密經 ]

요약 불교 유가(瑜伽)학파의 근본경전.
구분 경전

유가학파의 만법유식사상은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종자식(種子識)을 설명하는 이 경전에 의지하여 그 철학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이 경의 성립 연대는 2세기 전후로 추정되어 중관학파의 시조인 용수(龍樹) 직후이며 중기 대승경전에 속한다. 이 경의 특징은 (毘盧遮那佛)이 인간 세계가 아닌 화엄세계에서 과 문수 등을 향해 설법한 경전으로 우주의 법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경지에서 대상을 굳이 의식하지 않고 설하고 있으며 이 경전의 유포를 설하는 유통분이 없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주요내용으로는 유식의 경계를 밝히고 유식의 관법과 행과(行果), 그리고 최고의 경지는 유무(有無)의 2가지 모습과 분별지를 떠나 있으며 아뢰야식의 나타남과 그 3가지 성품을 밝혔다. 이 경의 한역으로는 (玄奘) 역 이외에 진제(眞諦) ·보리유지(菩提流支) ·구나발타라의 4가지가 있으며 특히 이 경에 대한 주석서를 신라시대 유식학자인 원측(圓測) ·(元曉) ·경흥(憬興)이 저술하였으나 이 중 유일하게 원측의 《해심밀경소》(10권)가 현존하여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경에 대한 주석서는 중국에서도 남아 있지 않으며, 원측의 주석서는 티베트본으로 남아 있어 이를 통해 한문본이 보충되고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