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력

해상력

[ resolving power, resolution , 解像力 ]

요약 광학기계로 식별되는 물체 위의 2점 사이의 거리 또는 시각을 말한다. 해상력은 배율과 함께 광학기계의 성능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해상력이 낮은 광학기계는 배율이 높아도 물체의 세밀한 부분을 관찰할 수 없다.

, 망원경과 같은 광학기기들이 구분해 낼 수 있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倍率)과 함께 광학기계의 성능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해상력이 낮은 기기로는 배율을 높이더라도 상이 흐려지기 때문에 세밀한 부분을 관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의 경우 1nm (10-7cm) 정도의 크기에서도 두 점을 구분해 낼 수 있는데, 전자 가속 전압을 높인 초고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면 약 0.3nm (0.3*10-7cm)의 크기까지 구분해 낼 수 있으므로 더 작은 크기의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초고압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면 몇개의 로 구성된 초미소체(超微少體)의 관찰이 가능하다. 


현미경의 해상력은 의 개구수(開口數), 망원경의 해상력은 대물의 구경(口徑)으로 정해지며, 이는 관찰하는 빛에 영향을 받는다. 주로 단파장(短波長)의 빛에서 해상력이 높게 나타난다. 


사진
사진에서는 화상(畵像)의 선예도(鮮銳度)를 정하는 인자로서 렌즈와 필름의 해상력을 흑(黑)과 백(白)의 줄무늬의 경계가 점차 가늘어지는 일정한 도형을 사용해서 조사한다. 렌즈의 해상력 테스트에서는 보통 도형을 일정한 거리에서 촬영하여 네거티브를 50배 정도의 현미경으로 조사하는 방법이 채택된다.

필름의 해상력도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세밀한 도형을 촬영해서 조사하는데, 사용하는 렌즈는 잔존수차(殘存收差)가 적어야 한다. 해상력은 렌즈나 필름의 성능을 판단하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도형의 종류나 콘트라스트에 의해 수치가 달라지며 암실의 처리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지므로 테스트 조건을 같게 해야 한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