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신학

해방신학

[ Liberation theology , 解放神學 ]

요약 20세기 중후반 라틴 아메리카 가톨릭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발전한 그리스도교 신학 운동으로,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교리를 해석하고, 교회의 사회참여를 강조했다.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정의롭지 못한 정치, 경제, 사회적 조건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고 실천을 강조했던 기독교 신학 운동이다. 1960년대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가톨릭 신학자들이 주도하고 진보적 개신교 신학자들이 참여함으로써 초교파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빈곤한 사람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교리를 해석함으로써 교회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불평등과 부조리로부터 이들을 해방시키는 사회참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빈곤을 신의 뜻에 어긋나는 사회적 죄악으로 규정하고 이를 타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회의 사회참여를 강조한 해방신학적 관점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년)와 콜롬비아 메데인에서 열린 제2차 라틴아메리카 주교회의(1968년) 후 라틴 아메리카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빈곤한 국가가 부유한 국가에 종속되는 세계적인 문제를 지적하고, 교회가 인류·역사와의 유대에 따라 그런 문제에 공동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천명하였으며, 메데인 주교회의에서는 이에 대한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후 해방신학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는 방콕대회(1972)와 나이로비 대회(1975)에서 해방신학을 “WCC의 신학”으로 채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로마 교황청에서 1984년과 1986년 두 차례에 걸쳐 해방신학과 이데올로기 사이의 연관성을 우려하는 경고 문건을 발표한 이후,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해방신학이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발달한 데는 지역적인 특수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라틴 아메리카는 15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에 의한 식민통치를 받았고, 독립 후에도 군사독재가 지속되면서 고질적인 빈부격차와 극심한 사회적 불평등에 시달렸고 부패와 부조리가 만연했다. 말하자면 해방신학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경제, 사회적 불평등과 부조리에 대한 교회의 도덕적인 반응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라틴 아메리카 인구의 대다수가 가톨릭교도라는 점도 이 지역에서 해방신학이 태동하여 발전하는 데에 밑거름이 되었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