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산업

항공우주산업

[ aerospace industry , 航空宇宙産業 ]

요약 항공기, 우주비행체, 관련 부속기기류 또는 관련 소재류를 제작·가공·생산·개조 및 수리하는 모든 생산활동으로 기술집약적인 고부가가치산업이다.

이 산업은 지식·기술 집약산업, 생산 및 기술 파급효과가 큰 선도산업,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산업,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큰 미래산업, 위험부담이 큰 모험산업, 쌍방독과점 시장특성을 가진 산업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산업의 발전단계는 일반적으로 창정비 → 라이센스 조립 및 부품국산화 → 독자개발 및 국제공동개발 단계로 분류한다.

한국 항공산업은 1955년 L-19 정찰기 창정비를 시발로 1970년대 초까지는 C-130 수송기·군용기 등의 정비 위주로 일관되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최초로 미국 휴즈사(社)의 소형 헬리콥터를 면허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78년 항공공업의 육성·지원을 위한 항공공업진흥법이 제정되었고 보조금 지급과 같은 유치 단계의 항공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었다. 1980년대는 미국 노스롭사 F-5 E/F 전투기의 공동생산이 추진되었다.

또한 1980년대 중반부터는 미국 보잉사와 같은 세계 유수의 민항기 제작사로부터 활발한 수출수주로 여객기 기체 구조물들을 국내생산하여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은 선진 제작사들로부터 단순 하청제작에서 탈피하여 부품설계에서 제작까지를 일괄 수주받아 수출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해외 협력선도 미국 외에 프랑스·독일 등 유럽 국가와 협력생산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국내 우주산업은 1970년대 고체로켓 개발 기반 구축 등 기초기술 습득기에서 1980년대 조립·부품생산의 우주기술 습득기를 거쳐 1990년대는 우리별 1, 2호를 비롯한 방송통신위성인 무궁화호의 발사와 이동통신, 위치탐사, 조난구조 등에 사용될 다목적 국내개발을 추진하였다.

현재 항공산업에 참여하는 국내업체는 대우중공업, 대한항공, 삼성항공 등 총 32개사이며, 군항공기사업 등으로 인하여 항공전자, 기계보기 분야의 참여업체가 증가될 전망이다. 우주산업체는 개발의 하청업체인 LG정보통신, 대한항공, 한라중공업을 비롯하여 6개사이며, 앞으로 다목적 실용위성 개발에 따라 위성체 및 발사체 부문의 업체가 증가될 전망이다. 국내 항공우주공업은 기술수준이나 생산규모면에서 초보적인 단계이며, 고용 및 수출액 역시 세계시장의 1%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한국 항공산업 생산은 1988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1989년도 대한항공이 생산하던 헬리콥터(500MD) 생산사업의 종료와 KFP(Korea Fight Program) 및 H-X사업의 지연 등 내수물량의 일시적인 공백으로 감소되었다. 수출은 내수생산 감소에 대처한 적극적인 수주활동 및 민항기 구매에 따라 오프셋(off-set) 추진에 힘입어 1988~1992년까지 연평균 33.4%로 증가하였으며, 수출 선행지표인 수주액도 26.5%의 평균증가율을 보였다.

항공우주산업기술은 일반적으로 설계·제작·시험·평가의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기술대상으로는 기체·엔진·소재·보기·장비 등이 있다.

첫째, 기체제작 및 부품가공 기술은 정밀기계가공, 화학처리가공(chemical milling), 판금성형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으나, 타이타늄 합금과 같은 특수 소재의 가공능력은 보유하지 못하였다. 정비기술은 군용기와 여객기의 창정비로 숙련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둘째, 엔진제작 및 부품가공 기술은 전투기 엔진조립생산 및 창정비의 수행으로 조립기술 및 일부 시험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정비용 부품과 국제 공동생산 참여에 의한 경항공기용 소형 엔진 및 여객기용 대형 엔진부품 등의 생산이 추진되고 있다. 우주 분야에는 1995년 발사된 무궁화호의 태양열 축적판 등 위성체 구조물, 신호전송장비, 명령수신장비 등 전자보기 및 우주발사체 구조물의 일부를 국내업체가 생산하고 있다.

셋째, 설계기술은 무인항공기 체계설계, 창공시리즈의 경항공기 설계, 군용훈련기 기본설계, 과학관측로켓 설계를 수행한 경험이 있으나 항공기 및 우주비행체의 개발을 위한 기초설계 자료가 축적되어 있지 않으며, 경험 있는 설계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넷째, 소재 분야는 일부 알루미늄합금과 복합소재 생산을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흡한 수준이다.

다섯째, 전기·전자보기류는 국내 전자업체에서 외국업체와 기술제휴하여 일부품목에 한해 생산·수출하고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