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남자

한복 입은 남자

[ A Man in Korean Costume , 韓服─男子 ]

요약 17세기 바로크 미술의 거장 피터 폴 루벤스의 작품.
작가 피터 폴 루벤스(Peter Paul Rubens)
종류 종이에 검은색과 붉은색 초크로 드로잉
크기 38.4x23.5cm
제작년도 1606~1608년/1617년(폴 게티 미술관)
소장 미국 LA 폴 게티 미술관

17세기 플랑드르 바로크 미술의 거장 피터 폴 루벤스(1577~1640)의 작품 《한복 입은 남자》는 루벤스의 인물 드로잉 중 매우 세심한 필치가 돋보이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이 작품은 1983년 영국 크리스티 경매에서 드로잉으로는 최고가인 32만4000파운드(당시 약 3억8000만원)에 낙찰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는 작품 속 인물이 누구인지, 어떻게 까지 가게 되었는지, 또 루벤스와 만나게 된 경유는 무엇인지 등 잇따른 의문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이어져 왔다. 서양인이 그린 최초의 '한국인 그림'으로 알려져 있으나, 학계의 의견은 분분하다.

작품을 살펴보면 남자는 머리를 상투처럼 틀어 올리고 관모를 쓰고 있다. 얼굴 생김새는 몽골리안 계통에 가까우며 눈에 쌍꺼풀이 있고 수염은 짧게 깎았다. 양 볼과 코, 입술, 귀 등에는 약간의 붉은 색 초크를 사용해 생기를 불어넣었다. 양손은 교차하여 반대편 소매 속에 넣었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혀 있는 모습이다. 주인공이 먼 곳에서 온 방문객임을 강조하려는 듯이 배경에는 희미하기는 하나 여러 폭의 돛을 단 범선이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 조선인이라고 보는 학자들은 이탈리아의 상인 프란체스코 카를레티(Francesco Carletti)가 남긴 《나의 세계일주기》라는 여행기에 기초해 볼 때 작품의 남자가 안토니오 코레아(Antonio Corea)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안토니오 코레아는 당시 일본에 포로로 잡혀 왔다가 카를레티를 따라 로마까지 가게 된 인물로, 루벤스는 로마에 머물던 1606년부터 1608년 사이에 그곳에 있었던 조선인 안토니오 코레아를 직접 만나 초상화에 담았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루벤스의 《성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의 기적》(1618)에 영감을 주었다고 알려졌는데 이 작품에서도 유사한 인물이 등장한다.

한편  2016년에 네덜란드의 테이스 베스트스테인 교수는 작품 속의 남자가 명나라 상인 이퐁(興浦)이라고 주장 하며, 실제로 루벤스가 조선인을 만나 그린 그림이 아니라 17세기 니콜라스 드 프리서의 문집에 수록되어있던 중국인 상인의 초상화에서 영감을 받아 그림을 그린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 근거로는 드 프리서 문집 속의 초상화와 루벤스 작품 사이의 큰 시각적 유사성을 들었다.

현재 이 작품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폴 게티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복 입은 남자 A Man in Korean Costume》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왔던 이 그림은 폴 게티 미술관으로 옮겨지면서 《조선 남자 Korean Man》라는 제명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작품에 관련해서는 여전히 많은 의문과 해석의 여지를 남겨 두고 있다. 작품의 주인공이 '안토니오 코레아'가 아닌 '제 3의 인물'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오세영 작가는 이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소설 《베니스의 개성상인》을 집필하였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