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한약

[ 韓藥 ]

요약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혼합조제한 약물.
한약방

한약방

한약은 약 4천년 전부터 중국에서 쓰여진 것으로 전해지며, 한국에는 신라 초기에 수입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동물·식물·광물 등 자연계의 여러 물질에 걸쳐 가려 쓰여지고 있으나 그 대부분이 식물성이다. 거의 (生藥) 그대로를 한방 이론에 입각하여 처방·제제(製劑)하여 사용한다.

한방의료용 약물의 형태 ·품질 ·약효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본초학(本草學)이 있다. 한약의 약성은 기미론(氣味論)에 의해 설명된다. 즉, 한(寒) ·열(熱) ·온(溫) ·양(凉) ·평(平)은 기(氣)에 속하고,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은 미(味)에 속하며, 본초학은 한방약물학에 해당된다.

본초학 최초 전문서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이다. 한방약리학에는 방제학(方劑學)이 있으며, 이는 한방적인 증(證)에 대한 약물의 처방구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본초학에 있는 약물을 배합하여 조제 ·투여한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