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어

핀란드어

[ Finnish language ]

요약 우랄어족의 핀우그르어파(語派)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어와 더불어 발트핀어를 형성하고 있는 언어.

언어인구 약 475만 명. 협의의 핀어로서 스스로는 수오미(Suomi)어라고 한다.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도 사용(약 40만 명)된다. 핀우그르어 중에서 가장 보수적인 언어로서 순수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다.

음성적 특징으로는 과 에 장단의 구별이 있고 얼마 안 되는 자음에 대하여 모음이 쓰이는 비율이 크다. 8개의 모음에는 의 제약이 있다. 즉, 어휘는 후설모음(後舌母音) [a] [o] [u]와 중립모음(中立母音) [i] [e], 또는 전설모음(前舌母音) [ä] [ö] [y]와 [i] [e]의 어느 한쪽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어두(語頭)에는 하나의 자음만이 허용되며, 그것은 무성자음(無聲子音)이나 비음(鼻音) ·유음(流音)에 한정된다(예:학교 koulu는 스웨덴어의 skola에서 차용). 그리고 어중(語中)에서는 폐쇄자음(閉鎖子音)이 음절의 개폐(開閉)에 따라서 변화한다(예:꽃 kukka, 꽃의 kukan). 또 악센트는 항상 제1음절에 온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명사의 격변화가 많아서 15격이나 되며, 소유접미사가 있다(예:집-안에-나의 talos-sa-ni=나의 집안에). 단수와 복수는 구별이 되나 성별(性別)은 없다. 동사는 부정형(否定形)에서 변화하며, (後置詞)가 잘 쓰인다(예:집 뒤에 talon takana). 방언은 크게 동서로 갈리고, 다시 7개로 구분되는데, 서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借用語)는 옛날에 게르만조어(祖語) ·발트슬라브어 ·노르드어로부터 문화적 용어를 받아들였으나, 새로이 스웨덴어로부터 대거 차용하는 경향이 있다. 문헌으로는 아그리콜라의 《신약성서》(1642)가 오래된 것인데, 핀란드어가 문학어로서 확립된 것은 19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이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