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혁공업

피혁공업

[ leather industry , 皮革工業 ]

요약 원피생산업·제혁공업(製革工業)·피혁(가죽)제품 제조업을 포괄하는 산업.

일반적으로는 제혁공업과 피혁제품 제조업의 2부문을 한정해서 일컫는 경우가 많다. 제혁공업은 주로 의 유성(鞣成)·마무리작업 및 마무리된 가죽에 도장(塗裝)이나 그 밖의 장식을 하는 공정을 담당한다. 그리고 피혁제품 제조업은 피혁을 재료로 하여 피혁제 신발류, 신발용 재료, 가방·지갑·혁대 등의 소비재 및 피대(皮帶), , 방직기용 에이프런 밴드, 직기용(織機用) 피커 등의 공업용 피혁제품을 생산하는 공업이다.

한국현황
8·15광복 후 한국의 생활은 양식화(洋式化)하여 구두·혁대··가방 등의 수요가 해마다 증가함으로써 제혁공업은 주로 생활필수품의 제조업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염가의 크로뮴에 의한 제조량이 많아졌는데, 이것은 천연고무·합성고무를 이용한 가죽구두의 수요량이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인 가죽구두 소비량은 1인 연간 1족으로 외국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한국에서는 필요한 원료피(原料皮)의 80∼90%를 수입하는데, 매년 수백만 매의 각종 원피를 도입, 이를 가공·유성하여 제품으로 만들어 수출한다. 피혁제품의 주요 수출제품은 구두의 갑피·핸드백·운동구 등 다양하고, 원료용 피혁으로는 쇠가죽·돼지가죽·양가죽 등을 미국·남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수입하며, 불(bull)·스티어(steer)·카우(cow)·(kip) 등의 여러 규격품들이 수출용 원자재로서 도입된다. 한국은 오늘날 이탈리아·일본·중국 등과 경쟁을 벌이는 세계적인 피혁 수출국으로 성장하였다.

문제점
한국 피혁공업은 원재료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원피가격은 우피(牛皮)의 세계 최대 공급국인 미국의 수급동향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시카고의 원피시장의 상장가격(上場價格)이 세계의 원피가격을 지배하는 실정이어서 피혁공업의 경영을 불안정하게 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 피혁공업은 근대화가 뒤늦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수요가 증대하는 중에도 대기업과 간의 경영격차가 커져 가고 있으며, 동업자들 간의 과당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당면과제는 기업의 근대화와 과당경쟁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하는 점인데, 생산구조 및 유통기구의 재편성 문제와 관련된 문제이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