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진법

피진법

[ p-system of notation ]

요약 p를 1보다 큰 자연수라 하고 a0,a1,a2,…,an을 정수로서 0≤ai≤p-1(i=0,1,2,…,n)이라 할 때, 임의의 자연수 N은 N=anpn+an-1pn-1+…+a1p+a0 와 같은 형태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가 있는데, 이때 N을 anan-1…a1a0 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p를 1보다 큰 라 하고 a0,a1,a2,…,an을 로서 0≤ai≤p-1(i=0,1,2,…,n)이라 할 때 임의의 자연수 N은 N=anpn+an-1pn-1+…+a1p+a0 와 같은 형태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가 있다. 이때 N을 anan-1…a1a0 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p진법이라고 한다. p=2,3,4,…로 됨에 따라서 각각 2진법, 3진법, 4진법,…이라 한다. p진법으로 수를 나타낼 때에는 a0,a1,…,an이 0에서 p-1까지의 수이므로 p개의 숫자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12진법에서는, 10진법에서 사용되는 숫자 0,1,2,3,4,5,6,7,8,9 이외에 10과 11을 나타내는 다른 숫자가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10을 t, 11을 e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된다. 10진법의 654321을 12진법으로 표현하려면 아래의 식과 같이 차례로 몫을 12로 나누고 나머지와 최후의 몫을 취하여 2767t9로 하면 된다.

피진법 본문 이미지 1
p가 다른 수의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특히 2진법은 숫자 0,1만 쓰게 되므로 컴퓨터 등에 많이 이용된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