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세오디뮴

프라세오디뮴

[ praseodymium ]

요약 주기율표 란타넘족에 속하는 희토류원소의 하나로, 원소기호는 Pr이며 1885년 오스트리아의 벨스바흐가 디디뮴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견하였는데, 은백색의 금속으로 공기 중에 방치하면 황백색이 되며 뜨거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킨다.
프라세오디뮴

프라세오디뮴

원소기호 Pr
원자번호 59
화학계열 란타넘족
원자량 140.908
전자배열 [Xe] 4f3 6s2
상태 고체
녹는점 935℃
끓는점 3127℃
비중 6.78
융해열 6.89kJ/mol
기화열 331kJ/mol
비열용량 27.20J/(mol·K)
전기음성도 1.13 (Pauling scale)
산화수 +3

1885년 오스트리아의 벨스바흐가 디디뮴을 질산암모늄 복염에 의하여 2원소로 분리하고 그중 하나에 함유되는 원소를 프라세오디뮴이라 명명하였다. 녹색의 염이었기 때문에 그리스어의 부추의 녹색(prason)과 디디뮴(didymium)에서 딴 것이다.은백색의 금속으로 공기 중에 방치하면 황백색이 된다. 전성(展性)·연성(延性)이 있고 아연보다 단단하다. 육방조밀격자(六方稠密格子)인 α형과 면심입방격자인 β형이 있다. 뜨거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보통 산화수는 +3가이다. 염화프라세오디뮴무수물의 융해염 전기분해, 또는 알칼리금속에 의한 환원(還元)에 의하여 얻는다. 혼합희토로서 미시메탈·철강·비철금속재료용 첨가제로 사용된다.

프라세오디뮴 본문 이미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