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방

풍류방

[ 風流房 ]

요약 음악을 좋아한 사람들이 모여 사사로이 연주활동을 하던 곳.

율방(律房)이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 ·· 등 성악곡에 능했던 사람을 가객(歌客), 가곡 반주나 《영산회상(靈山會相)》 등의 기악곡에 뛰어난 연주자를 금객(琴客)이라 하였으며 이러한 가객·금객 등이 함께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곳이 곧 풍류방이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중인 출신들이 등장하여 정악이라는 새로운 음악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이 정악은 가곡·가사·시조 등의 성악곡 및 대풍류·중풍류 등의 《영산회상》과 사관풍류·자진한잎·청성자진한잎 등의 기악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풍류방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음악문화에 속한다.

숙종 말의 가객 (金天澤)과 금객 (金聖器)가 풍류방의 대표적인 풍류객으로 이들의 작품은 《》 《》 등의 노래책에 전하고 있다. 또 중인 출신의 풍류객들은 그들이 연주하던 악곡들을 대개 거문고악보로 남겼으며 대표적인 것에는 (李得胤)의 《(玄琴東文類記)》, 신성(申晟)의 《금보신증가령(琴譜新證假令)》, 김성기의 《어은보(漁隱譜)》, 작자 미상의 《(韓琴新譜)》 《(新作琴譜)》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