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주

품주

[ 稟主 ]

요약 신라 최고의 행정기관인 집사부(執事部)의 전신으로 조조(租調)의 출납을 담당하던 재정기관.

565년(26)에 조조(租調 조세로 받던 곡식과 특산물)의 출납을 담당하는 재정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훗날 국가의 기밀사무을 관장하는 신라 최고의 행정기관인 집사부(執事部)의 전신이다. 장관으로 전대등(典大等:奈麻~阿飡) 2명을 두었으며, 589년(진평왕 11) 전대등의 보좌관으로 대사(大舍:舍知~奈麻) 2명을 두었다.

조주(租主)라고도 불렀는데, 품주 또는 주조로 불린 까닭은 이 기관의 주된 업무가 조(租)를 거둔 후 창고에서 저장·관리하는 것이였기 때문이다. 584년(진평왕6) 조부(調府)가 설치되면서 조세의 수취관리 업무가 조부로 이관되었다. 품주는 당시 군사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兵部)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는 품주가 관리하던 조조의 출납업무가 지방조직을 전제로 행해졌고 병부는 바로 이러한 지방을 관장했기 때문이다. 651년(진덕여왕3)에 신라최고의 행정기관인 집사부(執事部)로 개편되었으며, 829년(흥덕왕 4)에 집사성(執事省)으로 개칭하였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