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에블로호납치사건

푸에블로호납치사건

요약 1968년 1월 23일 북한 원산항 앞 공해상(公海上)에서 미국의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Pueblo號)가 북한의 해군초계정에 의해 납치된 사건.
언제 1968년 01월 23일
어디서 북한 원산항 앞 공해상
누가 북한의 해군초계정
무엇을 푸에블로호
어떻게 북한의 초계정 4척과 미그기 2대의 위협을 받고 납치

푸에블로호는 승무원 83명(장교 6명, 사병 75명, 민간인 2명)을 태우고 북한 해안 40 km 거리의 동해 공해상(동경 127 °54.3 ', 북위 39 °25 ')에서 업무수행 중 북한의 초계정 4척과 2대의 위협을 받고 납치되었다. 이 때 북한측의 위협사격으로 1명이 사망하고 수 명이 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도발적인 북한의 납치사건에 대해 미국에서는 즉각적인 강경한 보복조치를 취하라는 이 비등하였으며, 온 세계도 충격적인 큰 사건으로 받아들였다. 미국정부는 북한의 무모한 도발행위를 비난하고 푸에블로호 및 그 승무원의 즉각 송환을 강력히 요구하는 한편, 일전(一戰)도 불사한다는 결연한 태도를 보여 핵추진 엔터프라이즈호(號)와 제7함대의 2척을 출동시켰다.

또한 미국은 즉시 국가안보회의를 열어 그 대응책을 강구하는 한편 에서 소집을 요구, 북한에 대해 푸에블로호 나포(拿捕)의 부당성을 항의하였다. 그리고 외교적 노력의 일환으로 소련에 대해 나포 함정의 송환을 알선해 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그 후 북한은 푸에블로호 승무원들을 학대·고문하여 그들이 북한의 를 침범하였음을 시인·사과하도록 강요하였다.

북한은 이 사건을 마치 미국이 불법적으로 침략적인 도발행위를 감행하고 있는 것처럼 대내외적인 선전을 펼쳐 최대한으로 이용하였다. 사건발생 후 11개월이 지난 1968년 12월 23일 북한은 판문점을 통해 승무원 82명과 유해 1구를 송환하고 푸에블로호 함정과 거기에 설치된 비밀전자장치는 몰수하였다. 미국은 이 송환을 위해 북한에 대해 푸에블로호의 북한 영해침범을 시인·사과하는 요지의 승무원석방문서에 서명하였는데, 이는 후일 미국에서 정치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