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산

폴산

[ folic acid ]

요약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보통은 엽산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자연계에서는 트라이 또는 헵타글루타밀펩티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1941년에 시금치 잎에서 처음 추출되었고 1945년에 결정화와 화학합성이 이루어졌다. 인체에 미량 필요하며, 결핍 시에는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일으킨다.
화학식 C19H15N7O6
분자량 441.40g/mol
녹는점 250℃ (분해)
용해도 0.16mg/100mL

엽산(葉酸)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C19H15N7O6. 프테린과 p- 및 으로 이루어지는 프테로일-L-글루탐산이다. 자연계에는 트라이 또는 헵타글루타밀펩티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폴산은 1941년 미첼에 의하여 시금치 잎에서 처음으로 추출되었으며, 1945년 앙기르가 결정화와 화학합성에 성공하였다. 시금치·효모·간장으로부터 추출되며, 조혈(造血)에 유효한 인자로 미생물의 발육을 촉진한다. 분자 내의 p-아미노벤조산은 그 자체가 미생물의 발육촉진 인자이며 설폰아마이드는 세균의 폴산 형성을 저해한다. 생체 내에서의 생화학적 활성형은 환원형 테트라하이드로폴산으로, 이것은 NADPH의 존재 아래 수소이탈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폴산으로부터 다이하이드로폴산을 거쳐서 형성된다.

테트라하이드로폴산은 C1대사의 조효소로서 포밀화된 형태로 활성폼산이나 폼알데하이드의 전이와 운반에 관여한다. 이것은 의 생합성,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의 대사, 니코틴산아마이드나 등의 대사에 중요하다.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유도체의 하나인 로이코보린(5-N-포밀테트라하이드로폴산)은 포밀기를 가지는데 기전이(基轉移) 퍼텐셜은 높지 않다. 활성폼산으로는 10-N-포밀테트라하이드로폴산이나 5-N 또는 10-N-메테닐테트라하이드로폴산의 작용이 강하다. 필요량은 매우 미량이며, 고등동물은 장내 세균이 생산하는 양으로 충분하다. 빈혈을 일으킨 원숭이·병아리에게 폴산을 투여하면 치유된다. 사람에게 폴산이 결핍되면 빈혈이나 혈소판 감소를 일으킨다. 임상적으로는 항악성(抗惡性) 빈혈인자로 사용된다.

폴산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