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

포장

[ packaging , 包裝 ]

요약 물품을 수송 ·보관함에 있어서 가치 및 상태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재료나 용기 등을 물품에 시장(施裝)하는 기술 및 상태.

이에는 개장(個裝) ·내장(內裝) ·외장(外裝)의 세 가지가 있다. 포장의 기본적인 기능은 포장의 보호성 ·상품성 ·편리성 ·심리성 및 배송성(配送性)에 있다. 종전에는 포장의 기능 및 중요성을 보호성에 두어왔고 또한 그것으로 충분하였으나, 오늘날에는 그것이 더욱 확대되어 판매촉진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생산된 물품 그 자체만으로는 상품이라 하기는 어려우며, 포장이 됨으로써 비로소 상품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이 내용물과 일체를 이룸으로써 비로소 상품이 되는 것이므로 포장의 상품성도 중요한 기능이다.

오늘날에는 판매촉진을 위해 편리한 포장, 내용물을 쉽게 끄집어 낼 수 있는 포장 등이 판매상의 강조점이 되어 포장의 편리성도 중시되고 있다. 또한 등과 같이 셀프 서비스(self-service)제에 의한 판매방식의 점포에서는 소비자가 포장을 보고 구매결정을 하는 것과 같이 구매심리상의 작용도 포장이 수행하므로 구매심리를 자극하는 포장의 심리성도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한편, 수송포장에 있어서는 외장의 형상 ·치수 ·중량 등은 수송 ·보관 ·하역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배송성도 중요한 기능이 된다.

개장(個裝)이란 물품을 직접 싸기 위한 포장으로서 대개는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품에 시장된다. 이는 단순히 제품의 보호라는 기술적인 요구만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고, 포장재료 또는 용기에 포장된 것이 상점에 진열되어 구매자의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세련된 디자인이라는 시각적인 목적도 지닌다. 개장에 사용되는 포장재료로는 금속 ·종이 · 및 나무 등이 있다. 또 포장 디자인은 단순히 상품을 표면상 곱게 장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야 한다.

내장(內裝)이란 개장된 물품을 상자 등과 같은 용기에 넣는 포장으로 포장된 화물의 안쪽에 시장되는 것이다. 이는 개장이나 외장보다 복잡하여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는 특수한 목적 없이 일반적으로 시장되는 일반 내장과 특수한 목적을 가지는 내장이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약품 ·화장품 ·과자 ·문방구 및 도자기 등에 종이 포장지나 용기가 주로 쓰인다.

후자는 상품을 수분이나 습기에서 보호하려는 목적하에 시장되는 방수방습(防水防濕)포장과, 금속제품의 수송 ·보관 중에 녹이 슬지 않도록 방지하려는 목적하에 시장되는 방청(防錆)포장, 포장화물의 수송 ·하역 중에 받게 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목적하에 특히 도자기 ·유리제품, 광학부품 및 전자제품 등 파손되기 쉬운 제품에 시장되는 완충(緩衝)포장의 세 가지가 있다.

외장(外裝)이란 수송을 위한 포장으로서 각종 용기에 상품을 넣어 포장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나무상자로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목재자원절약과 포장합리화의 관점에서 골판지상자나 철사를 이용한 포장이 늘어나고 있으며, 합성수지의 개발 ·발전으로 플라스틱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상품에 따라서 통, 액체약품을 넣기 위한 금속관(金屬罐) ·병, 내산성(耐酸性)이 있는 항아리, 가축수송용의 대나무 광주리, 산소 등을 넣는 봄베(bombe) 등이 있으며, 끈이나 로프 등으로 다발로 묶는 결속(結束)포장 ·자루포장 방법 등도 있다.

외장에는 포장물이 목적지에 정확히 수송되도록 포장화물인(包裝貨物印)의 표시를 하여야만 하는데 이에는 짐번호, 송화인(회사 등)표시, 품명 ·품질표시 기호, 행선지 ·용적 ·무게 및 주의사항 등이 해당한다. 이같은 외장을 흔히 공업포장이라 하고, 개장과 내장을 상업포장 또는 소비자포장이라고 한다.

생활의 다양화, 식생활의 향상과 아울러 가공식품의 증대는 식품포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의 포장, 사용 후에 버리는 것을 전제로 하는 물품의 포장의 일반통행화(one way)는 편리성을 추구하는 경향에 비추어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화장품 등과 같은 무드 상품(mood goods)의 포장은 호사화 경향을 띠고 있다.

수송포장은 나무상자로부터 급속히 골판지화가 진전되어 경량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플라스틱은 필름과, 용기의 형태로 소비자포장은 물론 수송포장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포장 폐기물은 환경오염과 공해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또 자원부족과 관련하여 지나친 편리성 위주의 호사성 ·과대포장도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포장폐기물의 재활용이나 재순환과 관련되는 포장설계가 요청되고 있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