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대공

포대공

[ 包臺工 ]

요약 대들보나 마루보 위에 포작형식(包作形式)으로 세운 기둥으로, 보통 중보받침에 쓰이며 종대공에는 사용하지 않는데, 부석사 조사당(祖師堂), 수덕사 대웅전 등에서 볼 수 있다.

공포부분의 짜임이 간단하게 된 것부터 복잡한 것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가장 많은 형상은 포대공에 화반대공을 복합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보받침에 쓰이며 종대공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포대공 자체의 짜임 수법은 주심포계 집이나 다포계 집에 관계 없이 계통적 변천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으나 건물 성격을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구부재(架構部材) 중 보의 다듬질이나 가구재의 짜임 형식 등도 중요하나 포대공의 세부수법이 보여주는 시대성이 건축양식 판별에 핵심이 되는 경우가 있다. 조사당(祖師堂), 대웅전의 예에서 알 수 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