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

파이프

[ pipe ]

요약 속이 빈 가늘고 긴 관.
관이음

관이음

관 또는 튜브라고도 한다. 파이프의 단면은 보통 원형(圓形)이지만 모양이 다른 것도 있다. 수도관·가스관 등 일상생활에서, 또 각종 공업용시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주로 유체(·)나 분체(粉體)의 수송에 사용된다. 또, 땅 속이나 옥내(屋內)의 배선을 할 때, 전선·케이블의 보호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의 통로 등을 관로(管路)라 하고, 유체의 유량(流量)·물성값· 등을 생각해서 합리적으로 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배관(配管)이라 한다.

긴 배관은 도중에서 관의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굵기가 다른 관을 사용할 때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접합하기 위하여 파이프 커플링을 사용한다. 또, 파이프는 같은 무게의 봉재(棒材)보다 굽힘에 대해 강하므로 기계나 구조물 등의 구성재료로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파이프는 그 재질에 따라 금속관과 비금속관으로 나누어지며, 금속관에는 강관(鋼管)·주철관·구리관·황동관·알루미늄관·연관(鉛管) 등이 있고, 비금속관에는 비닐관·철근콘크리트관·석면(石綿)시멘트관·도관(陶管)·애관(碍管)·고무관·목관(木管) 등이 있다.

금속관에는, ① 강관:박판(薄板)을 굽혀서 용접이나 단접(鍛接) 등으로 이은 이음매 있는 강관과, 봉재에서 압연하여 만든 이음매 없는 강관이 있다. 이음매 없는 강관은 ·유압(油壓)이 걸리는 곳, 등에 널리 사용된다. ② 주철관:강관보다 무겁고 강도도 강관보다 약하지만, 값이 싸고 내식성(耐蝕性)이 좋으므로 수도·가스·배수(排水) 등 지중매설용(地中埋設用)으로 많이 사용된다. ③ 구리관:내식성·가요성(可撓性)이 좋으므로 화학공업용 등에 사용되며, 또 열전도(熱傳導)가 좋으므로 보일러 및 열교환용으로도 사용된다. ④ 황동관:구리관과 같은 성질이 있으므로 복수기(復水器)·열교환기 등에 사용된다. ⑤ 알루미늄관:가볍고 내식성도 뛰어나므로 항공기 등의 배관, 기타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⑥ 연관:구부리기 쉽고 내식성도 우수하므로 수도관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비닐관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수도용으로서의 사용은 감소하고 있다.

비금속관에는 ① 비닐관:가벼울 뿐 아니라 내식성도 좋고 접합하기 쉬우므로 점차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② 고무관:고무호스라고도 하며, 굴곡이 자유롭고 송수·살수(撒水) 등에 사용된다. ③ 철근 콘크리트관:흄관이라 하며, 상하수도용에 사용된다. ④ 석면슬레이트관:에타닛 파이프라고 하며, 수도용 등에 사용된다. ⑤ 도관:하수용에 사용된다. ⑥ 애관:전기인입선 등의 절연용으로 사용된다. ⑦ 목관:섬유기계용 등에 사용된다. 그밖에 특수한 것으로서 금속의 박판을 나사선 모양으로 조합한 가요성이 있는 파이프도 있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