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퇴르효과

파스퇴르효과

[ Pasteur effect ]

요약 세포나 조직에 의한 해당(解糖)이 산소에 의해서 억제되는 현상으로, 고등동물의 세포를 비롯하여 많은 세포에서 볼 수 있다.
파스퇴르 석상

파스퇴르 석상

L. 파스퇴르가 의 알코올발효와 산소 분압의 관련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이 이 이름의 유래이다. 이 현상은 고등동물의 세포를 비롯하여 많은 세포에서 볼 수 있다. 혐기 조건에서 세포는 해당에 의해서 당을 이나 알코올로 바꾸며 그 과정에서 에너지를 획득하는데, 산소 존재하에서 당은 를 거쳐 완전히 산화된다. 완전 산화로 얻어지는 에너지, 즉 는 해당의 경우보다 훨씬 크므로 호기 조건에서는 혐기 조건에서보다도 소량의 당소비로도 충분하다. 파스퇴르효과의 대사과정에 대해서는, 호흡에 의해 증가된 ATP나 구연이 해당계의 조절효소인 프럭토스-6-인산 키나아제를 저해하므로, 해당이 억제된다는 생각이 유력하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