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개미류

흰개미류

[ termite ]

요약 곤충강 바퀴목 흰개미과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
흰개미

흰개미

동물
절지동물
곤충류
바퀴목
흰개미과
종수 전세계 2,050종(열대 아프리카 500여 종)
몸의 빛깔 유백색
생활양식 고도로 발달한 사회생활, 계급사회
서식장소 지하, 죽은 나무, 자른 그루터기나 재목 속
분포지역 한랭지를 제외한 세계 각지

등시류라고도 한다. 개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개미에 비해 (더듬이)이 일자로 되어 있고 허리가 없으며 날개가 길면서 양날개의 크기가 서로 같다. 분류학상으로도 개미처럼 벌목에 속하지 않고 따로 단일한 목으로 분류된다. 그 이유는 개미와는 다른 적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약 2억 년 전에 흰개미는 바퀴목에서 갈라져 나왔다. 그래서 사회성 행동이나 몇몇 특징을 제외하고는 개미보다는 바퀴와 비슷한 점이 더 많이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미류처럼 고도로 발달한 사회생활을 영위하고 그 상태나 주거가 개미와 아주 비슷하다.

한랭지를 제외하고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주로 · 지역에 많다. 세계에 2,050종이 알려져 있으며, 열대 아프리카에는 500여 종이 분포한다. 에 사는 것은 지하에 사는 것이 많고, 또 죽은 나무, 자른 그루터기나 재목 속에 살며, 목조건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볼 수 있는 것은 날개가 없는 작은 유백색 벌레로, 머리만이 적갈색을 띠고 딱딱한 일개미이거나 그것과 비슷하고 머리가 큰 병정개미이다. 시기에 따라 거뭇한 빛깔을 가지며 길쭉한 2쌍의 날개를 가진 날개개미가 여러 마리 나타나 무리를 이루어 밤에 등불에 날아들기도 한다. 이들은 과 이 대략 같은 수이고, 무리를 이루어 날면서 땅 위에 내리면 날개가 기부에서 떨어진다. 다음에 각각 짝을 찾아 1쌍이 되어 적당한 장소를 찾아 구멍을 파서 작은 방을 만들고 교미한다.

여왕개미는 의 발달과 함께 을 시작해 집의 구성원의 증가에 따라 배 부분이 이상적으로 커지고, 몸길이 10cm 가까이에 이르는 것도 있으며, 많은 것은 하루에 수천 개의 알을 낳는다. 여왕개미와 왕개미를 생식충(生殖蟲) 또는 제1차 생식충이라고 한다. 큰 개미집에서는 100만을 넘는 구성원을 낳으며, 를 한다.

개미집에는 그 밖에 암수의 부생식충(副生殖蟲)이라고 하는 계급이 있는데, 날개 등은 해 짧고, 눈도 퇴화해 있다. 어느 정도 여왕개미와 왕개미 대신 생식을 할 수 있으나 부여왕의 경우 생식력이 낮다. 여왕개미가 죽었을 때 등에 1마리 또는 여러 마리가 나타나는 일이 많다. 일개미와 병정개미에도 암수가 있는데, 암컷은 알을 낳을 수 없으며, 수명은 2∼4년이며, 눈이 없는 것이 많다. 급이(給餌)·(營巢)·수리 등의 노동은 일개미가, 집의 보호와 외적에 대한 방어는 병정개미가 한다. 또한 병정개미에는 이 큰 형과 큰턱이 작고 앞머리가 주둥이 모양으로 늘어난 형이 있는데, 큰턱이 작은 것은 앞머리 끝에 있는 액선(額腺)에서 특수한 액을 내서 외적을 방어한다.

이상의 흰개미 계급은 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다. 흰개미의 먹이는 재목이나 죽은 나무, 또는 (腐植土)·풀·버섯 등인데, 이것은 일개미나 노숙(老熟) 유충이 먹고, 다른 것들은 일개미가 먹어 다시 뱉은 것을 얻어 먹거나 일개미 등의 직장(直腸) 내용물을 얻어 먹는 것이 많다. 종류에 따라서는 일개미가 풀이나 종자를 수확하여 저장하는 것, 식물질을 부수어 작은 공 모양으로 만들어 버섯을 배양해 먹이로 하는 것도 있다. 먹이의 대부분은 목재의 식물질로, 주성분인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는 전혀 변질되지 않고 장에 이르며 여기에 하는 에 의해 분해·흡수된다.

집은 땅속·목재 속에 만들며, 흰개미의 개미탑이라고 하는 지상의 집도 있다. 아프리카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많고, 여러 가지 크기나 모양이 있다. 특히 큰 것은 높이 약 6m, 기부의 지름 3.5m에 이르며, 바위 모양, 암반(岩盤) 모양, 막대 모양, 버섯 모양 등이 있다. 어느 것이나 땅속에 통로와 방을 만들 때 생긴 나머지 흙이나 모래, 식물 조각 등에 침과 배출물을 섞어 굳히고, 내부에는 (迷路)와 같은 통로와 중앙에 왕대(王臺)·균실(菌室) 등을 가지며, 공기가 통하는 구멍도 있다. 집 속에는 개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딱정벌레, 그 밖의 공생동물이 있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