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수

흉수

[ hydrothorax , 胸水 ]

요약 흉막강 내에 고이는 액체.

정상인도 약 10mℓ 정도 되는 소량의 흉수가 있어, 의 호흡운동 때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 사이의 윤활유 역할을 한다. 각종 질병에 의하여 증가하는데, 이 증가한 액체의 성상에 따라서 누출액(漏出液)과 삼출액(渗出液)으로 대별된다.

누출액은 황색투명한 액체로서 그 비중은 1.015 이하, 단백질 함유량 3.0g/dℓ 이하이며, 세포성분도 적다. ·간경변증 ·신장질환 등에 의한 전신성 의 부분 증세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난소섬유종 등의 골반 내 종양에서 누출성 흉수를 수반하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메이그스 증후군(Meigs syndrome)이라고 부른다. 삼출액은 각종 흉막염(늑막염)이나 농흉(膿胸)에서 나타나는 흉수이며, 그 원인에 따라서 황색투명 또는 혼탁, 농성(膿性) ·혈성(血性) 등 여러 가지이나 비중은 1.018 이상, 단백질 함유량 3.0g/dℓ 이상으로 누출액에 비해 고비중 ·고단백질이며 세포성분도 많다.

이 밖에 흉수에 가 섞이고 지방분이 많은 특유의 밀크색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유미(乳糜)흉수라고 부른다. 유미흉수는 외상이나 종양 등에 의하여 흉관(胸管)이나 (胸廓) 내 이 손상 ·폐색된 경우에 발생한다.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