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가

훈민가

[ 訓民歌 ]

요약 조선 선조 때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지은 시조(時調).
저자 정철
장르 시조
발표년도 1580년

《경민가(警民歌)》라고도 한다. 16수로 되어 있으며, 작자가 1580년(선조 13)에 강원도 관찰사(觀察使)로 부임하였을 때 백성들로 하여금 도덕을 깨치게 하기 위하여 지은 작품으로서,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유교적 윤리가 그 내용이다. 첫 수는 부의자모(父義慈母)를 풀이한 것으로 “아바님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훈민가 폰트 이미지 1시니, 두분곳 아니시면이 몸이 사라시랴, 하훈민가 폰트 이미지 2 훈민가 폰트 이미지 3가업훈민가 폰트 이미지 4 은덕(恩德)을 어훈민가 폰트 이미지 5다혀 갑훈민가 폰트 이미지 6오리”이고, 셋째 수는 형우제공(兄友弟恭)을 읊은 것으로 “형아 아훈민가 폰트 이미지 7야 네훈민가 폰트 이미지 8 훈민가 폰트 이미지 9져 보와, 뉘손훈민가 폰트 이미지 10 타나관훈민가 폰트 이미지 11훈민가 폰트 이미지 12조차 훈민가 폰트 이미지 13다, 훈민가 폰트 이미지 14졋먹고 길러나 이셔 훈민가 폰트 이미지 15 훈민가 폰트 이미지 16을 먹디 마라”이다. 《송강가사(松江歌辭)》에 실려 전하며, 1656년(효종 7)에 나온 《경민편언해(警民篇諺解)》에도 수록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